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1. ETF : SOXL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ETF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배 ETF

2. ETF : SOXX (iShares PHLX Semiconductor) ETF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추종 ETF

 

 : 각 투자철학 및 심리적 요인을 반영한 금액만큼 매매.

 

- 주 포인트 설명

 . SOXL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Philadelpia Semiconductor Index)인 ETF를 추종하는 부분이 있음.

SOXL Index Trackted

 . 이에 보아야 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SOXX ETF를 권장하며 추종 포트폴리오도 이와 비슷.

SOXX ETF Full Name 

 . SOXL이 추종하는 ETF인 SOXX ETF가 삼각수렴 돌파시그널이 발생.

SOXX (iShares PHLX Semiconductor)

 

 . SOXL 또한 이를 추종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패턴 자체는 비슷함.

SOXL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 SOXX Top 10 Holdings 종목에 주목.

  .. Top Holdings 종목에 대한 Top3는 아래에 자세히.

SOXX ETF Holdings.

 

- 목표가 시나리오

[가능성↑] A Scenario : 삼각수렴 패턴 Pole 만큼의 전형적인 패턴적 상승이 일어나는 경우

목표가 : 31.86% 상승만큼의 290달러 도달 시

 . 상승여력 안에서 엘리엇 임펄스 5파동 예상되며 5파동 조건에 부합될 시, 1차 매도

 . 엘리엇 임펄스 5파동은 대략적으로 그렸으니 참고로만 보기를.

[Optional] B Scenario : 삼각수렴 패턴을 돌파하는 시그널이 발생하였으나, 블랙스완으로 인한 대외적 이슈로 반도체 수요 급락 및 반도체 가격의 단기적인 가격감소 추세를 2020년 초까지 겪는 상황이 발생되는 베어리쉬 상황을 가정

(유럽 완화정책과 홍콩 이슈, 시장 친화적 연준을 고려해볼 때 정책 및 분위기에 따라서는 현재 발생 가능성은 낮은 편)

목표가 상동.

 . 삼각수렴 돌파 상단시그널에서 과도한 이격을 발생시키는 상승이후, 단기적인 더블 탑(쌍봉) 패턴 후 급락.

 . 엘리엇 임펄스 C 파동에 해당하는 부근까지의 단기적 조정국면을 맞이한 후 저평가 구간 돌입

 . 1번 시나리오는 저평가에 도달했다는 리포트와 함께 대형금융사의 반도체 컨센서스 상향 예상

 . 2번 시나리오는 대내외 불확실성의 해소가 지지부진함에 따라 상승을 이끄는 원동력 필요 재고 후, 블랙스완 또는 불확실성 해소에 의한 반도체 불리쉬 마켓.

 

- SOXX Top Holdings에 대한 Top 3 기술적분석

엔비디아(NVDA)

 . 상승분에 대한 38.2%만큼의 약 되돌림 반등 이후, 삼각수렴형 돌파 발생.

 . Ascending 삼각수렴의 Pole만큼의 전형적인 상승이 일어나는 경우 이전 고점인 290달러 부근 도달 예상.

 

인텔(INTC)

 . 상승분에 대한 61.8%만큼의 강 되돌림 반등, 상승 돌파 시 가장 강력한 상승시그널 발생 가능성.

 . Double Dip Bottom에 의한 상단 저항 62~63 달러 돌파 시, 추세적인 확정편향성 상승도 고려.

 . 현재의 상승이 시가총액 대비 과도하므로 55달러 부근에서는 조정파동으로 Flag Pattern형 예상.

 

퀄컴(QCOM)

 . 4월 모바일 칩셋 로열티 분쟁으로 인한 애플과의 소송전으로 인한 오버슈팅으로 해석.

 . 4월 나타난 퀄컴의 오버슈팅이 다소 큰 거래량을 동반한 저항선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으나 돌파 후 지지한 기간이 매우 짧은 것을 감안한다면, 가장 강한 심리적 저항은 81달러 부근으로 해석되고 있음.

 . 삼각수렴 시그널을 돌파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애플 및 삼성전자 모바일 칩셋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퀄컴은 반도체 지수의 상승 흐름이 견고할경우 이에 편승하는 모습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함.

 . 삼각수렴을 돌파했으나, 4월 봉을 첫 번째 봉으로 기준점 삼아 더블 탑(쌍봉) 패턴이 나타날 시에 대한 시나리오 구축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

 

■ 목차

  1. 원유는 공급과 수요의 파워게임이다
  2. 부활을 꿈꾸는 불멸의 귀금속
  3. 경기를 선도하는 비철금속
  4. 풍요 속의 빈곤, 곡물
  5. 원자재전쟁의 보이지 않는 위협
  6. 원자재 함정에 빠진 세계
  7. 새로운 자원의 탄생, 탄소배출권
  8. 원자재 슈퍼사이클, 지금은 어디인가

■ 왜 읽었는가?

 ≫ 원자재를 배울 곳이 많지 않고, 목차에서부터 저자께서 관련 지식이 매우 다양하다는 느낌이 왔다.

 ≫ 원자재 선물 투자 전략 및 ETF 전략을 구사하기 위한 원자재 정세 파악과 각 원자재 속성 파악.

 

■ 내 마음대로 정리하기

원유 - 원유는 공급과 수요의 파워게임이다.

- 원유? 석유? LNG? LPG?

. 석유란 천연적으로 추출한 원유를 수출하거나 정유공장으로 운송하기 전에 수분과 가스분을 제거한 것을 말하며, 이를 정제한 것을 석유제품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석유는 매장 위치가 지면에서 깊을수록 내부압력이 높아 가스물질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추출비용과 정제비용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저유가의 지속은 유정 투자 손익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산량 증가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유전에서 원유를 채취하거나 원유 정제 시 나오는 탄화수소를 낮은 압력에 냉각시켜 액화시킨 것을 LPG라고 하는데, 나프타를 크래킹(Cracking, 중질유 석유를 분해하여 경질 석유 유분을 제조하는 석유분해법)할 때에도 생성된다.

. 천연가스는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가스 상태의 탄화수소를 말하며 석유 속에도 소량 용해되어 있다. LNG는 천연가스 중 메탄(CH4) 성분을 정화처리한 후 냉각시킨 것이다. 주로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데, 최근에서는 주로 LNG를 사용한다. 이는 LNG가 공기보다 가벼워 창문으로 배기가 가능해, 비중이 높아 밑바닥에 가라 앉는 LPG보다 안전한 특징이 있다.

. LNG는 천연으로 나오니 액화천연가스, LPG는 원유 정제할 때 나오니 액화석유가스.

 

 - 원유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세 가지

 1. 전 세계 석유 산지는 대부분 중동지역이다.

  . 2015년 기준, 약 60%는 중동지역이 맞다. 그러나 2014년 셰일오일 생산증가로 중동지역의 편중성은 다소 완화되고 있다.

 2. 석유 생산량으로 석유제품 공급 조절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다.

 . 상압증류탑과 같은 시설에 투자하면 석유제품을 동시에 일정 비율로 생산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계성으로 특정 제품의 생산량을 조절하는 데 한계가 발생된다.

 LPG는 27도 이하, 나프타 30~120도, 경유 250~350 등..

상압증류탑

 3. 석유는 매장량이 정해져 있어서 지금과 같이 원유 소비를 하면 고갈될 것이다.

 . 향후 석유를 생산할 수 있는 기간을 가채연수라고 하는데, 이는 확인매장량/생산량이다.

 . 석유의 가채연수는 현재 생산기술로 생산할 수 있는 확인 매장량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생산기술의 발전에 따라 또는 대체에너지의 등장에 따라 기존에 발견된 유전으로 회수할 수 있는 확인 매장량의 증가가 가능하다.

 . 즉, 과거 기술력이 부족하여 경제성이 없던 심해와 신규 유전의 발견으로 과거와 같은 가채연수 우려는 다소 완화되었고 앞으로도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

 

원유 공급측면

 . 2016년 국제 공급 측면에서 중동정세와 텍사스 허리케인 피해, 사우디와 이란의 원유 시장점유율 경쟁과 미국 셰일 경쟁이 본격화되었고, 과잉공급 우려가 되는 시장임.

 

전략

 . 2000년 이전

 : 휘발유와 난방유 수요에 따라 움직임, 통상 정유회사는 4~5월부터 6월에 있을 여름 휴가를 위해 휘발유를 생산하여 원유를 소비하므로 4월까지는 원유가격 상승 압력을 받는다.

 : 이후 7~10월까지는 11월말 겨울을 대비하여 난방유 생산을 위해 원유를 소비, 10월까지는 상승세를 나타낸다.

 : 그래서, 미국 정유사들은 10월까지 재고를 쌓고, 12월까지 소비하며 신규매수는 다음 해로 연기.

. 2000년 이후

 : 과거와 달리, 대체에너지의 등장과 미 달러의 강세 등 외생적 변수의 영향이 큼.

 

귀금속

 - 금과 은 : '금'은 수요주도시장 -> 생산에 의한 금 공급은 연간 전체 공급량의 2%

 . 중국이 금 생산량 지속 확대,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 도약.

 . 2008년 금융위기 후, 금 관련 글로벌 기업들의 자금부족과 경영난을 겪으며, 중국기업이 해외인수에 나설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2012년 후 국제 금가격 하락하여 광산업체의 투자이익률이 낮아졌음. 이로 인해 채산성 악화로 신규 광산이 둔화되었음.

 . 1985~1989년까지 세계 1위 금 생산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었으며, 전체 공급의 37%였음.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채광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금광업체들의 채굴비용에 기인하는데, 채굴할수록 지하침수, 암반 붕괴 등 위험요인의 작용과 채굴에 필요한 전력 부족이 작업환경을 더욱 악화시켰으며,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마지막 양적완화는 2012년 12월) 이후 미달러 강세가 남아프리카공화국 금광근로자들의 인건비 부담으로 작용.

 . 2013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유럽경제 부진으로 수출이 둔화되었고, 가계부채 증가와 강성노조에 의한 노동자 파업 및 전력부족이 함께 겹쳐졌으며, 앞으로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전기의 95%를 에스콤이라는 국영회사가 생산하는데 개선되지 않는다면, 금 생산량의 증대는 당분간 어려울 것임.

 . 2012년 기준, 광산금 이익률은 55~60%, 제련금 이익률은 1%에도 못 미쳤음.

 . 제련금은 과잉생산 해소에 도움, 생산규모를 늘리면 지위를 유지시켜주며 고도의 제련 기술이 필요하여 시장에서 최고급 품질로 인정받으므로 가격경쟁력이 높음.

 . 국내 99.99%의 순금을 대량 생산하는 곳은 LS니꼬동과 고려아연이며 생산된 순금의 90%를 해외로 수출

 . 금의 수요는 대부분 이탈리아,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었으나 최근엔 인도, 중국, 사우디 등도 추가.

 . 전세계 장신구 금의 최대 수요국은 인도, 결혼 시즌으로 전 세계 금 25% 소비, 10월 셋째 주에 '두세라' 축제와 11월 3~5일간 힌두교 명절인 '디왈리' 때 결혼 시즌.

 . 2015년엔 중국 전통 관습상 아기의 장수와 행복을 바라는 의미의 선물용 금 수요가 증가, 향후 낮은 가격과 맞물려 다자녀 정책이 강화될수록 수요 증가 예상.

 

- 금의 가공수요와 투자수요

 . 가공수요 : 보석, 전기, 치과, 금화, 메달 등.

 . 투자수요 : 바 형태나 금화의 형태로 매매, 수익, 자산배분, 경제 변동에 의한 위험 헤지 목적

 

- 금 공급의 세 가지 분류

 1. 광산채굴 : 실질적으로 늘리는 것은 채굴이 유일

 2. 고금의 회수 : 이미 채굴한 2차적 공급원

 3. 정부와 중앙은행의 공급 : 이미 채굴한 2차적 공급원

 

- 금 가격이 상승할 때 투자 수요가 증가하는 원인?

 . 금 가격 예측을 노력하는 사람들은 금 가격이 지지선이나 저항선에 접근함에 따라 투자자들의 반응을 예의주시한다. 만약 투자자들이 낮은 가격에 반응하여 매입하고 있다면, 가격이 최소한 일시적으로는 상당히 안정될 것으로 생각한다.

 .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상승국면에서 조금 늦게 시장에 편승하려 하고, 이익이 나는 포지션은 노무 오랫동안 보유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투자 수요와 산업 수요가 역의 관계를 갖게 하는 원인이 된다. 금 가격이 상승하면 투자 수요는 증가하나, 산업 수요는 감소하며 금 가격이 하락하면 반대의 경향을 보임.

 

- 금 가격은 경제 선행지표

 . 금 가격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전조로 보며 투자자들은 더 많은 금을 매입하는 경향이 있다.

 . 금 가격이 상승하면 원가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산업 수요는 감소한다.

 . 금 가격이 하락하면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억제되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대량의 금을 매각

 

 - 팔라듐

 . 팔라듐은 백금과 유사한 성질로 귀금속 전성과 연성이 좋음.

 . 백금보단 가격이 낮고 무게가 가볍고 단단하여 전기접점, 고급외과수술, 베어링, 치과재료, 장식용 귀금속.

 . 1990년까진 자동채 배기가스용 촉매를 백금으로 사용했으나, 이후 가솔린엔진 촉매는 팔라듐으로 교체.

 . 디젤엔진 촉매 변환기의 경우 약 25~50%가 팔라듐으로 대체되었음.

 

 - 백금

 . 백금은 주로 니켈을 정제할 때 나오는 부산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러시아, 짐바브웨, 미국, 호주 등이 주요 생산국.

 . 백금 수요는 석유정제, 전기, 화학 및 섬유 산업체에 사용되며 전기산업에서 저항자, 접촉재, X-선 기기 및 화학산업에서는 촉매제로 사용.

 . 백금이 금보다 매장량이 20%나 많지만 생산량의 85%를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공급했으나 백금 3대 생산업체 광산(1위 앵글로아메리칸플래티넘, 2위 임팔라플래티넘, 3위 론민)이 임금인상 및 파업으로 생산성이 저하.

 

비철금속

- 알루미늄

 . 알루미늄은 연성이 좋아 가공이 쉽고 가볍고 산화성이 크고 공기 중에서 산화물 보호피막을 만들어 부식되지 않는 특성.

 . 알루미늄은 보크사이트광석에서 알루미나로 전환한 후 이를 용융시킨 후 전기분해하여 얻기 때문에 다른 비철금속에 비해 생산국 정책과 유가의 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 주요 수출국은 인도네시아이며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세계 보크사이트 수출의 60%를 차지.

 . 알루미늄 포일 등 포장 사용을 제외하면 대부분 합금하여 강도를 높이는데 사용되며 승용차와 트럭에 가장 많이 사용(28%) -> 전기자동차 보현화될 시, 많은 양이 이 분야에 사용 예상

 . 각종 용기 및 포장 (23%), 창틀(14%), 지붕 재료 및 건축자재에 사용되며 35%는 전선, 가전, 자동차엔진, 냉난방, 주방기구 등 사용

 . 그 외 적외선 반사율이 높아 열반사체 및 은색 페인트 등.

 . 전세계 보크사이트 광석의 매장량은 380억 톤이며 중국, 러시아, 베트남, 호주, 브라질, 인도, 자메이카가 주 매장 및 생산.

 

- 구리(전기동)

 . 전성과 연성이 좋으며, 다른 금속과 합금하여 여러가지로 사용 (+주석=>청동), +아연(=>황동), +니켈(=>백동))

 . 구리의 60%는 (구리선)전선에 사용 그 외 송수관 지붕, 자동차 라디에이터 등 부품과 방열기, 주화, 장신구에 사용

 . 특히 구리는 전선, 전기기구, 냉난방기 등에 많이 사용되어 국가경제와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수요가 많음.

 . 약 34%는 칠레에서 생산되며, 페루(8%), 중국(7%), 미국(7%), 호주(6%), 잠비아(4%), 러시아(4%)이다.

 

- 구리와 알루미늄을 속인 칭다오

 . 2014년, 칭다오 보세창고에 쌓였던 구리와 알루미늄 재고가 급격히 감소, 이는 중국 정부가 기업들이 동일한 금속 재고를 담보로 여러 건의 자금을 대출받은 사실에 대해 조사를 시작하면서부터임.

 . 칭다오 스캔들은 2014년 5월 말, 덕정광업이라는 회사가 2만톤의 전기동과 10만톤의 알루미늄 재고를 2배로 늘려 허위 담보를 설정했다는 혐의를 받게 된 사건.

 . 이로 인해 상해 현물 프리미엄은 급락하고 현금과 3개월물 현물 간 스프레드도 백워데이션이 좁혀졌었던 사건.

 

- 아연

 . 아연은 실온에서는 단단하여 부서지기 쉽고, 전성과 연성이 거의 없다. 그러나 고온(100~150℃)에서는 전성을 띠어 가는 선이나 얇은 판으로 가공할 수 있다. 비교적 좋은 전기전도체이며, 녹는점과 끓는점이 낮아 쉽게 승화된다.
 . 아연은 주로 철에 내부식성 도금 용도로 자동차 도색에 사용, 산화아연은 반도체 물질로 복사기와 자외선 차단제, 흰색 페인트 안료 등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식품 보존제와 탈취제, 비듬방지 샴푸 첨가제, 항균 농약 등에도 사용

 . 아연은 건전지에도 사용되는데, 약 70%는 광석에서 직접 생산되고 나머지는 폐품에서 회수되어 재활용된다.

 . 전 세계 아연 생산량은 약 1,200만 톤으로, 이 중 30%가 중국에서 생산된다. 이외 페루, 호주, 인도, 미국, 캐나다에서 생산된다. 

 

- 납

 . 납은 아주 무르고 연성과 전성이 커서 가공하기 쉽지만, 전기와 소리, 진동은 잘 통하지 않는다. 공기 중에서는 보호 피막이 만들어져 내부가 잘 부식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 납은 구리, 아연, 은 등과 함께 광석에 들어 있다2012년 전 세계 신규 생산량의 약 절반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호주, 미국, 멕시코, 페루에서도 생산된다 (가용연수는 약 40년으로 예상)
 . 납은 광석에서 신규 생산되는 것과 비슷한 물량이 재생되어 사용되는데, 주로 자동차용 납축전지에 쓰인다. 또한 X-선 장치와 원자로 방사선 차폐재, 전선 피복제, 땜납, 탄환에도 사용된다.

 . 실제로 1986년에 일어난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당시 방사능 차폐를 위해 원자재로 2,400톤 규모의 납을 투입했다. 그리고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때에도 납을 이용하여 방사능을 막았다.

 

- 니켈

 . 중국의 중공업 확대 추진과 인프라 투자에 따라 정련니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가격이 급등

 . 니켈의 사용은 철의 합금을 만들어 스테인리스강을 만드는 것, 니켈 총 생산 중 65%가 스테인리스강 제조에 사용.

 . 주방기구, 건물설비, 자동차 및 전자부품, 전력 케이블, 화학공장 설비, 수소화 촉매, 장신구, 동전 등.

 . 주요 생산국은 러시아, 호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 주석

 . 전성과 연성이 좋고, 공기 중에 쉽게 산화되지 않음.

 . 전자제품 회로를 연결하는 땜납으로 사용되며 종, 파이프, 식기와 장식품 등 사용, 일부는 LCD패널이나 MRI 장치의 초전도자석에도 주석 합금이 전선으로 사용.

 . 일부 주석도금은 강철 통(캔)으로 사용, 소비재 기호 변화로 알루미늄이나 PET 등 대체재와의 경쟁이 높아지는 중.

 

LME (런던금속거래소)

- 왜 비철금속은 런던이 중심인가?

19세기 중반만 하더라도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동과 주석의 생산 국가였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광석의 수요가 증가하여 남미나 아프리카 극동 지역으로부터 많은 광석을 수입하였다. 그러나 해상수송의 특성상 선박은 부정기적으로 항구에 도착하였으며, 도착일인 만기일은 알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가격도 심하게 변동하였으며, 상인과 제조업자 모두 가격변동 위험을 부담해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상인들은 미래에 도착할 상품에 대한 선도 거래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후 전신이 발명됨으로써 항해중인 화물의 도착 예정일을 알 수 있게 되면서 선일자 판매가 가능해지자, 상인과 제조업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이기 시작하였다. 
1869년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자 말레이시아로부터 주석광석 운송기간이 3개월로 단축되어 칠레로부터의 동광석 운송기간과 같아지게 되면서 3개월 선도 거래가 시작되었다. 
이에 금속 거래업자들은 시장 정보를 얻기 위해 런던 항구에 모이기 시작했고, 자신들만의 회합 장소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77년 일단의 금속상인들이 런던금속거래소(London Metal Exchange, LME)를 설립하였고, 회원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거래량도 급증하였다. 이 기간에 3개월 선도 거래가 공식화되었으며,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거래하는 링 거래 관습도 시작되었다.

 

- LME의 주요한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 결정의 역할 : 거래소에서 접수되는 거래주문은 전 세계에 걸친 사업상의 결과이다. 따라서 거래가격은 어느 한 시점의 세계 비철금속 수급 현황에 대한 정확한 척도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LME의 공시가격은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실물 장기계약의 가격 결정 기준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둘째, 헤징의 기회를 제공 : LME는 광산회사, 제련회사, 무역회사들에게 헤징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치적·경제적 또는 금융상의 혼란으로 야기되는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수급조절 기능 : 경기가 침체할 경우 비철금속은 잉여분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잉여분은 거래소 등록창고에 입고된다. 투자자나 금융기관들은 이러한 재고를 매입하는 동시에 선물을 높은 가격에 매도함으로써 위험이 거의 없는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 금융 소유주들은 잉여재고를 판매할 수 있게 되므로 금융비용, 보관료 등의 부담을 투자자들에게 넘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과잉 재고가 흡수되므로 생산자나 제조업자들이 경기가 침체할 경우에도 조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실물인수도 기능 : LME는 선물 거래뿐만 아니라 언제든지 실물을 사고팔 수 있는 시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실물 매입자에게는 LME 창고의 상품을 표준규격품으로 보증받을 수가 있으며, 매도자에게는 언제든지 자신이 원하는 물량의 현물을 처분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섯째, 파이낸싱 역할 : 창고증권, 즉 실물을 소유하고 있는 자가 현물을 팔지 않고 단지 포지션을 1개월 연장하고자 한다면 LME에서는 랜딩(Lending, 현물을 매도하고 동시에 선물 원월물을 매입)을 통해 1개월을 연장할 수 있다.

반도체의 1~3위 업체는 싹 보는 것이 좋다.

흔히 한국인들에게 반도체 주식을 사라고 하면, 단순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많이 얘기한다.

 

한 번쯤 다루고 싶었던 컨텐츠, 나를 위해서라도 이 곳에 남겨둔다.

 

반도체는 세 가지로 나뉜다.
종합반도체기업(IDM), 설계만하는기업(Fabless), 제조만하는기업(Foundry)

  • 종합반도체 IDM (설계부터 제작까지)

DRAM

순위 기업명 나라 시장점유율
1 삼성전자 대한민국 약 46%
2 SK하이닉스 대한민국 약 28%
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icron Technology)
미국 약 20%
4 난야
(nanya)
대만 약 2.5%
5 윈본드
(winbond)
대만 약 0.8%

NAND

순위 기업명 나라 시장점유율
1 삼성전자 대한민국 약 45%
2 도시바 일본 약 26%
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icron Technology)
미국 약 16%
4 SK하이닉스 대한민국 약 13%

 

  • 팹리스 Fabless (설계만 하는 기업)

순위 기업명 나라 시장점유율
1 브로드컴 미국 약 27%
2 퀄컴 미국 약 23%
3 엔비디아 미국 약 16%
4 미디어텍 대만 약 11%
5 AMD
(Advance Micro Devices)
미국 약 9%
6 자일링스 미국 ...

 

  • 파운드리 Foundry

순위 기업명 나라 시장점유율
1 TSMC 대만 약 50%
2 삼성전자 대한민국 약 15%
3 Global Foundry 미국 약 8.5%
4 UMC 대만 약 7.5%
5 SMIC 중국 약 5%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 박유악

 . 시기는 조금 지났지만, 충분히 좋은 자료다. 너무 잘 정리해주셨다. 믿고보는 갓유악님.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전망_20190522.pdf
3.82MB

파운드리는 선두업체가 집중도가 높은 산업 -> TSMC

어떤 기업이 이 시장을 지배할 것인가? : 기술경쟁력으로 보았을 때, 세 곳.

 . TSMC > 삼성 >인텔, 파운드리 시장은 아직까진 TSMC가 압도적.

28나노 공정기술부터 Cost가 급증하므로, 다른 업체가 따라오기 어려운 시장

삼성전자는 28나노 이하에 집중, 미국의 팹리스업체(퀄컴,엔비디아,애플,IBM 등) 고객 확보 전망

SK하이닉스는 8인치 공장을 중국으로 이전, 중국 내 중소 팹리스 고객을 상대로 확장 전망


종합반도체업체(IDM)가 매출액 갓갓 기업.

 . 브로드컴이 IDM이라고 되어있는데, 브로드컴은 Fabless기업입니다.

 


반도체 8대 공정 설비 업체 (제일중요함, 반도체 사이클 때 내 돈 벌어주는 기업들)

 

왜 중요할까, 종합반도체회사가 잘 벌어먹든, 파운드리가 잘 벌어먹든,

어쨋든 설비는 유지보수하고 새로운 기술은 도입해야하니 그 때마다 이 기업들은 다 먹는다.

노후설비를 갈아치울 때, 새로운 공장을 추가할 때, 신기술을 도입했을 때... etc.

TSMC가 잘 나가든, 삼성전자가 잘 나가든, 마이크론이 잘 나가든.

 

노광

1. 네덜란드 기업 ASML : 압도적 시장점유율 85.3%

[Tech Talk] 노광장비 1등 기업, ASML의 성장 비결은?

[한장TECH] 차세대 반도체의 운명을 쥔 기업, ASML

2. 후퇴하는 일본의 니콘

3. 후퇴하는 일본의 캐논

 

증착

1. 미국의 어플라이드머트리얼즈(AMAT)

2. 일본의 도쿄일렉트론(TEL)

3. 미국의 램리서치(LAM)

 

식각

1. 미국의 램리서치(LAM)

2. 네덜란드의 ASML

3. 미국의 어플라이드머트리얼즈(AMAT)

 

이온 주입 (Ion-Implantation)

1. 미국의 어플라이드머트리얼즈(AMAT)

2. 미국의 엑셀리스 (Axcelis, 상장안함..ㅋ)

 

계측 및 검사

1. 일본의 히타치

2. 미국의 KLA텐코 : 장비따라 다르지만 특정장비는 점유율 90%에 육박할 정도.

 . IDM 업체들의 EUV 공정이 도입되면 전공정 검사 장비의 수혜 예상.

KLA-텐코, IC 패키징 결함 검사 시스템 2종 발표

 

테스트

1. 미국의 테라다인(Teradyne)

2. 일본의 어드반테스트(AdvanTest)

반도체 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장비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박유악님 패키징&테스트 시장 자료

 

장비업체 중 가장 중요한 건, 노광/증착/식각

 

장비업체를 매출액으로 본다면

최근 인도 경제의 키 TOP 3 : 모디총리의 경제 완화적 정책

1. 인도, 법인세율 30→22%로 경기 부양 위해 파격 감세

2. 인도, 기준금리 5.40%로 35bp 내려…올해 네 번째 인하

3. "인도경제, 한번 더 부탁해"‥모디 총리 재집권 확정

 

 

RELIANCE INDUSTRIES LTD.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는 iSahes MSCI India ETF(INDA)의 포트폴리오 10%의 비중을 담당한다.

 

 

주사업

1. 정제된 석유 제품의 제조와 기본 화학 물질, 비료 및 질소 화합물, 플라스틱 및 합성 고무 제조를 포함한 석유 화학 제품의 1차 형태의 정

2. 폴리 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염화 폴리비닐, 폴리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아인, 아크릴 폴리 에틸렌을 포함한 석유 화학 제품의 생산

3. 원유 및 천연 가스의 탐사, 개발 및 생산

4. 섬유, 특수 경제 구역(Special Economic Zone, SEZ) 개발, 통신 또는 광대역 사업 및 미디어 사업을 담당

5. 릴라이언스 리테일과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인더스트리의 자회사,릴라이언스 지오 인포컴(Reliance Jio Infocomm Limited))

6. 4G 및 5G 등의 대형통신산업(인포텔 브로드밴드 서비스(Infotel Broadband Services Limited: IBSL))

 

인도 최고 부자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회장

 

최근엔 사우디 아람코도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지분 20%를 인수했다.

우디 아람코, 인도 릴라이언스 지분 20% 인수…亞 본격 진출하나

 

릴라이언스는 최근 삼성중공업과도 연관이 있다.

올해 국내 첫 해양플랜트 수주…삼성중, 수주목표 29% 달성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주가 차트.

 

 

TATA CONSULTANCE SERVICES

타타 컨설턴스 서비스는 iSahes MSCI India ETF(INDA)의 포트폴리오 6%의 비중을 담당한다.

 

 

 

주사업(사업회사)

0. 타타 컨설턴시 서비스

1. 타타모터스

2. 타타스틸

3. 타타케미컬

4. 타타 글로벌베버리지

5. 타이탄

6. 타타캐피털

7. 타타파워

8. 타타 어드벤스드 시스템

9. 인디안호텔

10.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에서.

구조조정·M&A…글로벌 시장서 경쟁력 ‘우뚝’

Tata group Business Overview

 

아이오톤, 글로벌 통신기업 '타타커뮤니케이션즈'와 업무협약

인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타타', 블록체인 플랫폼 적용

 

인도 타타에 4조 원대 ‘적자 폭탄’ 떠안긴 재규어 랜드로버

 

 

 

타타 컨설턴시 서비스 주가 차트.

 

아래는 각각 FOMC에서 결정하는 금리의 방향이 어느쪽으로 갈 것인지에 대한 확률을 보여주는 차트다.

 

1. 당장 9월에 FOMC 회의를 통해서 금리하락의 가능성을 30%

2. 10월에 1.5 ~ 1.75%로 하락을 58.1%

3. 11월부터는 1.25%와 1.5%의 하락을 각각 42%와 37%로 내다보고 있는데, 이는 79%이다.

 

이를 통해 11월 및 12월까지는 시장참여자들은 현재보다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것에 79% 확률을 보고있다.

금리인하가 발생된다면, 채권가격의 상승일 일어날테고 단기물보다는 장기물에 대한 상승이 일어날 것이다.

 

2019년 9월 18일
2019년 10월 30일
2019년 12월 11일

 

이를 보고 투자하는 것이 바로 장기물 국채 ETF Symbol : TLT 이다.

 

자세한 건 다른 블로그를 참고하자.

https://blog.naver.com/annajung1/221612881510

 

분산 투자의 중요성 (feat. 장기 채권 TLT)

출렁이는 시장 속에서 지나치게 주식에만 집중된 포트폴리오가 참 위험하다는 걸 최근에 느꼈다. 조금 늦은...

blog.naver.com

 

원본

mscinetearnrev.pdf
0.35MB

 

일부 주요국 나름 정리해보기

 : 글로벌은 19년을 기준으로 순이익이 약 -5%

 

 : 미국은 그에 비해 순이익의 손실 폭이 좀 적은 편, 이는 S&P500(미국 500대 기업)

 

 : 이머징마켓은 미국보다는 순손실 폭이 좀 더 강한 편이고, 잠깐 2017년 반짝 순이익 전환하였으나, 최근 순손실중.

 

 : 브라질은 순이익폭을 늘려왔으나, 최근 다시 순손실 적자전환함.

 

 : 중국은 18년에 지속적으로 순이익중었으나, 미중무역분쟁이 시작된 18년 하반기부터 순손실하며 요 근래 손실폭이 다시 감소하는중.

 : 자동차산업의 실태를 보여주는 독일(이 나라는 자동차의 나라라고 봐도 된다), 현대차/기아차가 죽 쓰는데 한 몫 한다.

   (BMW, 메르세데스 벤츠, 폭스바겐, 포르쉐, 아우디, 오펠, 보르그바르트 모두 독일의 자동차기업)

 : 그리스는 유로화의 양적완화의 수혜를 맞았고, 구조개혁등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4/236096/

 : 인도는 무슨 일이 있는것이니..? 괜찮은거니?

 

 : 한국과 사이가 나빠진 일본, 역시나 동아시아 정세에 맞춰 요즘은 안 좋다.

 : 대한민국은 일본보다 조금 더 안 좋은 상황이다... 17~18년 순이익도 일본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미비하다 ㅠㅠ

이 글은 시킹알파의 Devidend Seeker의 글을 번역하여 인용한 글입니다.

 

원작자 : Deividend Seeker (Seeking Alpha)

 

글쓴이 개인의견

 : 지속적으로 배당을 늘린 기업을 홀딩하고 있으며, FAANG(Facebook, Apple, Netflix, Google, Amazon)이 없는 ETF다. FAANG 기업을 투자할 것이라면, VOO(Vanguard S&P500 ETF)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월마트, 프록터앤갬블, 맥도날드는 앞으로도 꾸준히 좋을 것이고, 필자 또한 좋아하기 때문에 S&P500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가정하에 이 ETF를 추천한다.

 

ETF 소개

  • 운용사 : 뱅가드(Vanguard)
  • ETF 명 :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 ETF (감탄스러운 배당주 ETF 정도로 해석)
    주로, 배당이 존재하며 배당이 지속 성장하는 S&P500의 대형기업 + 소비재 기업
  • 배당수익률 : 116달러 기준, 1.77%
  • 운용수수료 : 연 0.06%
  • 보유종목 개수 : 186 종목 (Large : 90.47%, Mid : 8.54%, Small : 0.97%의 우량 ETF)
  • 보유종목 TOP 10 (아래 그림에서 자세히)
    1. 마이크로소프트
    2. 비자
    3. 월마트
    4. 프록터&갬블(P&G)
    5. 존슨&존슨
    6. 컴캐스트
    7. 맥도날드
    8. 애벗 래버러토리
    9. 메드트로닉
    10. 유니온 퍼시픽
  • 펀드의 보유 포트폴리오 지분

VIG의 모든 포트폴리오

 

 

Summary

  • Symbol VIG는 S&P500 지수를 이긴 ETF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이 Exchange Traded Fund는 수 년간 지속적으로 배당을 늘리는 기업을 홀딩하고 있으며, 이는 금리가 하락할 때 종종 수익률을 좋게 반영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 VIG가 보유지분이 높은 종목의 최근 실적이 좋으며, 이는 시장이 하락하더라도 어느정도 뒷바침이 될만한 소재일 것이다.

Deividend Seeker가 추천한 이유

  • 보유 구성 종목으로 보이듯, 미국의 강력한 소비자를 바탕으로 한 종목이 많으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통해 앞으로도 이 펀드는 장기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하며 보유 종목의 수익과 관련하여 시장의 기대를 가장 잘 충족시켜준 상위 주식의 혜택을 받고 있다.
  • 배당금을 인상한 장기적 실적을 가진 기업들이 금리 하락기에 시장을 능가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그 추세가 올해에도 유지된다면, VIG는 "알파"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Deividend Seeker : 금리 인하가 지속될수록 배당성향이 강한 종목이 유리하다

  • CME 그룹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로 2020년에는 0.75bp의 기준금리 하락이 예상될 것으로 보인다.
  • 이 전망이 맞다면, 투자자들은 수익률 추구를 위해 REITs, 그리고 VIG와 같은 다른 배당금 지불 상품에 투자할 것이다. 금리인하를 예상하고 수익률이 높은 제품을 구입하는 논리는 일리가 있지만, 실제 금리인하가 발생했을 때 이러한 자산이 어느정도의 가치상승(Performance)을 보여주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 위 그림에서 보듯, 금리가 낮았던 2016년의 Performance가 좋았고, 금리가 점차 높아졌던 2017년엔 Performance가 낮았으나, 이후 동결의 움직임을 보였던 2018년 후반과 2019년 중반까지는 배당이 꾸준히 늘어가는 기업의 Performance가 더 좋았다는 것이다.
  • 아래는 S&P500을 추종하는 SPY와 S&P500 중, 배당성장을 추종하는 VIG의 수익률을 비교한 차트
    확실히, 19년 초부터 Symbol:Spy보다 Performance가 좋았다.

Deividend Seeker : 보유한 종목의 실적이 너무 좋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YoY 수익성장률은 12.1%, 순수익성장률은 49%, 배당성장률 9.5%
  • 비자의 YoY 수익성장률은 11.5%, 순수익성장률은 33.1%, 배당성장률 19%
  • 월마트의 YoY 수익성장률은 1%, 순수익성장률은 80%, 배당성장률 1.9%

Deividend Seeker의 마지막 코멘트

  • 나는 계속해서 VIG를 추천한다. 배당금 지급뿐 아니라 성장시키는 기업을 보유한다는 펀드의 목표는 금리가 하락할 때 시장을 이길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된 전략이다.
  •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는 금리가 지금보다 6개월 안에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VIG는 모든 투자자들의 레이더에 포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 펀드는 소비지출의 강세로 계속해서 이익을 보고 있다.
  • 마지막으로, VIG의 큰 지분을 갖고 있는 종목들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수익을 보여주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주가를 더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나는 여전히 VIG가 강세장일 것을 기대하고 있다.

Compare ETF

  • 배당귀족주 ETF라 불리는 NOBL
  • S&P500을 가장 잘 추종한다는 SPY
  • 배당성장+소비재 ETF VIG

SPY vs NOBL vs VI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