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인도 시장에 무척이나 관심이 높았는데 정리하기는 귀찮았고..

그렇기엔 2019년에 여러가지 Signal이 포착되면서 기다리다가 오늘에서야 정리해봅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재집권

 

서론

. 인도시장에 관심이 높은 투자자들은 모두 알겠지만, 인도 SENSEX 지수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계속 상승중.

. 2007년, 9.8% 성장하던 경제성장률이 2013년에 4.4%까지 추락하며 경제침체기가 발생.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014년 5월 26일 취임, 핵심 공약으로 경제성장을 내세우며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유시장 경제를 지지하는 '모디노믹스'를 추진. → 경제 좋아짐, 지지도 상승

. 2019년 5월 모디 총리 재취임.

 

인도 채권 한국 중개처

 . 한국투자증권 : 19년 5월 30일 기준, 판매채권 없음

 . NH투자증권 : 19년 5월 30일 기준, IFC(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인도향 채권 매수 가능 (인도 '우회' 투자)

  .. IFC 채권 매수나 India ETF 매수나..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할수도..? 표면금리는 대략 세전 6%다.

  .. 모든 해외 채권은 최소 매수금액이 있는데, IFC 채권 최소 매수금액은 200만루피(원화 3000만원) 이상부터

  .. 남아공·터키까지…해외채권 투자 늘리는 NH투자증권

 . 대신증권 : 확인해보았으나, 취급하지 않음.

 

리스크

a.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 19년 5월 나렌드라 모디 총리 2기 재집권 성공

 : 야당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지역에서 의석을 획득하며, 'New India by 2022'을 슬로건으로 한 모디 정부의 개혁·개방 정책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음. 이에 따라, 회사법 개정, 노동법 간소화, 토지수용법 개정,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

b. 인도는 원유 수입 3위국, 그래서 국제유가 상방향성 리스크 존재. Brent oil이 쌀수록 좋고, 비쌀수록 나쁘다.

  .. 미국 셰일혁명으로 미국 원유 재고량에 따라 크게 좌지우지.

  .. 원유 최대소비국인 중국이 신용축소 정책과 무역갈등으로 석유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

  .. 이에 따라 OPEC과 비-OPEC(러시아) 등의 원유감산 소식에 따라 인도 경제에 영향 예상

  .. 향후 원유가격은 OPEC과 비-OPEC 그리고 미국과의 견제 및 상관관계로 인해 안정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c. 인도 루피는 신흥국 화폐로 분류된다. 그래서 신흥국 경제위기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흔들릴 수 있다. 근래는 강보합

d. 엘니뇨 리스크 : 기후로 인한 인도의 막심한 피해

  .. 인도는 엘니뇨가 일어날 때마다 곡물 수확량이 평균 4.7%씩 감소하였으며 2002년 엘니뇨 때는 곡물 생산량이 18% 줄었습니다.
엘니뇨 출처: https://if-blog.tistory.com/5632 [교육부 공식 블로그]

e. 19년 5월 기준, 근래 달러대비 원화의 급격한 약세화와 루피화 강세에 따라 현재 시점 투자 시, 상투잡을 수 있음

  . 시기적으로 다시 봐야겠지만, 시기로 따진다면, 달러-원화로는 1100원 아래가 적기이고, 루피화가 좀 더 밀릴 때 사는 게 좋다.

  . (18년 10월 기준미화 대비 현재 원화가 6% 비싸고(손해), 미화 대비 루피도 6% 비싸기 때문에 총 12% 비싸다고 표현할 수 있어서 공격적인 투자자가 아니라면 시기상 현재(19년 5월)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ㅣ화댑미달러-원화 차트

 

인도 루피 - 달러 차트

긍정적 부분, 생각의 정리

. 모디 총리 2기 재집권,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모디노믹스 정책에 한 번 더 힘이 실릴 것으로 생각

. 19년 1월부터 외환보유고와 황금보유고의 증가가 눈에 띄며, 미국 달러 강세에 루피화 보합세 (이정도면 괜찮다 생각)

. 최근 미국과 중국 분쟁에 따라 기업들의 인도와 베트남 투자 지속, 분쟁에 따른 반사이익.

환율 관찰대상국 중, 인도 제외

. 18년 원유 가격 급락에 따라 인도 무역수지에 긍정 예상 (원유 가격 증가에 따라 리스크 변동 있음)

. 안정된 인플레이션 유지, 19년 선진국 통화정책의 변화와 글로벌 대형은행의 맷집 상승으로 경기확장 후반부 연장 가능성. (from. NH투자증권 신환종 리서치센터장, 신흥국 채권 관련 190514_리포트)

 

인도 SENSEX 지수 - 1주봉

 

메이크 인 인디아 - 2014년 1기 모디노믹스

1. 모디노믹스는, 인터넷 · 통신 · 교통 등 인프라 개발과 규제완화를 통해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경기를 상승시키겠다는 계획.

2. 우선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방과 보험 분야에서 외국인 직접투자 제한 비율을 현재 26%에서 49%로 완화

3. 정부 재정적자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4.1%로 전임 정부가 설정한 목표를 지키면서, 2016년에는 3%까지 줄이고 경제성장률은 3~4년 내에 7~8% 목표, 당시 베어링자산운용과 모건스탠리는 인도의 향후 10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6.8%로 전망하였는데, 실제로 6~9% 까지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이끌어냄.

 ※ 인도 정부에서는 2017년 619억 달러라고 했는데, 경제협력기구는 더 낮게 측정한 듯 하다.

 

2016년 화폐개혁으로 인한 경제 주춤? : 결과적으로 성공.

※ 16년 11월 8일, 화폐개혁 관련 내용

Kotra 해외시장뉴스 (인도, 루피貨 화폐개혁)

2016년 11월 컬럼(혼돈의 인도 화폐개혁, 이에 맞춰 변화하는 IT기업들)

2016년 12월 기사(수익률 신통찮아도 돈 몰리는 인도)

2019년 1월 컬럼(인도 모디 정권의 승부수① '인도 화폐개혁')

 

 

 

메이크 인 인디아 한번 더? - 2019년 2기 모디노믹스

- reference

"하반기, 인도 증시 주목.. 모디노믹스 탄력으로 청신호"

인도 모디노믹스 2기... 5대 경제 과제는

2기 모디노믹스 정책 방향

 

SENSEX 지수를 통한 최근 나름 큼지막했던(?) History

. SENSEX 지수 주봉을 토대로 어떤 부분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는지 최근 연도 순으로 인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모디 총리의 모디노믹스에 대한 경제적 지지도가 높고, 신흥국으로 분류되며 원유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다.

 

정치

. 정당별 인도 하원의석에서 인도국민당 우위

집권여당(BJP) 선거공약 내용

 . BJP의 공약 발표, 정부정책의 연속성 강조

 . BJP 공약집은 1차 투표일 직전인 4월 8일 발표됐으며, 모디총리, BJP 당수의 인사말과 국정과제 및 정책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 공약발표회에서 모디 총리는 ‘연임하는 정부가 내놓는 최초의 공약’이 될 것이 말하며, 연임 자신감을 비치는 동시에 정부 정책의 연속성을 강조

‘강한 인도.’ 2022년까지 새로운 인도 건설
 . 공약집의 표제는 ‘Sankalpit Bharat, Sashakt Bharat(여러분에게 강한 인도를 약속합니다)’로 지난 총선에 비해 안보 이슈를 강조
 . 2014년: Sabka Saath Sabka Vikas(총체적 노력과 내생적 성장)의 구호 아래 물가 안정, 고용 창출, 정부 개혁, 부정부패 척결 등 6대 당면과제를 제시
 . 모디 총리는 2014년 총선이 50년 동안 이어진 왕조적 지배(Dynastic Rule)로 발생한 결핍을 채우는 유권자의 결단이었다고 평가하며, 2019년 총선을 통해 2022년까지 독립운동가들이 꿈꾸었던 인도를 현실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
 . 야당인 INC가 1947년 독립이래 집권한 기간은 54년 7일에 이르며, 2022년은 인도독립 75주년임.

정치부문은 공공누리에 따라 Kotra 해외시장뉴스의 공공저작물 내용을 참조합니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인도 채권

 . 한국투자증권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인도 채권 목록 (19.5.30 기준 판매하지 않음, 아래는 인도 로컬 참고치)

  : 자본차익, 환차익, 이자수익 효과

발행 종목명 등급 위험 발행일 만기일 표면이율

인도수출입은행

EXIMBK 9.33 10/24/18 BBB- (S&P) 고위험[만기] 2013.10.24 2018.10.24 9.33%
인도수출입은행 EXIMBK 9.05 02/22/22 BBB- (S&P) 고위험 2012.02.22 2022.02.22 9.05%
인도철도금융공사 INRCIN 8.83 03/25/23 BBB- (S&P) 고위험 2013.03.25 2023.03.25 8.83%
인도식량공사 FCIIN 9.95 03/07/22 BBB- (S&P) 고위험 2014.03.07 2022.03.07 9.95%

 

※ 각 채권 가격 차트

[철도] India InfrastructureIndia Infrastructure Finance Company, 8.83% 25mar2023 : http://cbonds.com/emissions/issue/248953

INRCIN 8.83 03/25/23

[식량] Food Corporation of India, 9.95% 7mar2022, INR : http://cbonds.com/emissions/issue/248919

 . 떨어지다가 요 근래(18년 9-10월부터) 반등.

 

[은행] Export-Import Bank of India, 9.05% 22feb2022, INR : http://cbonds.com/emissions/issue/213283

 

외교관계

 . 관계는 참 오묘하다. 파키스탄과 중국이랑 사이가 나쁘다가도 경제적으로는 중국과 친한건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5/354425/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56642/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59099/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49946/

http://news1.kr/articles/?3632121

 

※ 아래부터는 인도 경제지표

황금보유고와 외환보유고가 최근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최근 1년간 인도 외환보유고 (18.5 - 19.5)

 

인도 최근 5년 황금보유고

물가상승률은 매년 낮아지고 있다.

인도 최근 5년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실업률은 3%대로 안정권을 지속하고 있다.

인도 최근 10년 실업률

인구는 당연 계속 늘고있다. 중국을 넘어설 것이라는 보고가 많다.

인도 최근 10년 인구
인도 최근 10년 국내총생산(GDP)
인도 최근 3년 주택지수

 

GDP 상승의 견인은 제조업과 건설업이다.

인도 최근 10년 건설업 GDP
인도 최근 10년 제조업 GDP

 

무역수지 적자는 지속중

인도 최근 10년 무역수지

 

마이너스 성장 사과한 홍남기 "목표치 수정계획 없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7193833

 

<경제부총리 발언을 통한 업종 주도주 분석>

 1. 시스템반도체(Fabless/Foundry) :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해 염두에 둔 것은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 대책이다. 홍 부총리는 “우리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과 시장점유율은 세계 1위이지만 시스템반도체는 잠재적 역량에도 불구하고 시장점유율이 3%에 수준에 불과하다”며 “팹리스(반도체를 직접 생산하지 않고 설계와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와 파운드리(반도체 제품을 위탁받아 생산ㆍ공급하는 회사) 육성과 인력 양성 등에 역점을 두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2. 미래기술(AI/IoT/자율주행) : 이날 회의에서도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 지원방안이 첫 번째 안건으로 논의됐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자동차 등에 활용될 수 있게끔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활용을 촉진하고, 시스템반도체 산업 전반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종합 지원방안을 담았다. 
 3. 5~6월 단기이슈 (패션/미래차/OLED Display) : 홍 부총리는 이 밖에도 섬유패션산업 활력 제고 방안, 미래차 산업 육성전략, 차세대 디스플레이 발전방안 등 업종별 대책을 5~6월 중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주도>를 어느 나라의 어느 업체가 하고 있는가?

 . CPU : 인텔 (미국)
 . 모바일 프로세서 및 모뎀 : 퀄컴 (미국) 
 . 네트워크칩 : 브로드컴 (싱가폴) 
 . 이미지센서 : 소니(일본) 
 . 차량용반도체 : NCP (네덜란드) 
 . 파운드리 : TSMC (대만)

 

<코멘트>

 . 과연 삼성전자가 비메모리반도체 투자를 지속할 시, 어떤 나라의 어떤 업체와 경쟁할 것인지를 생각해본다면 적어도 미국의 인텔과 퀄컴과의 싸움은 피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장 규모를 체크해 볼 필요는 있다. 미국과의 치킨게임 구도보다는 네트워크칩, 이미지센서, 차량용반도체와 파운드리 쪽으로의 싸움을 가능성을 열어보아야 한다. 그러한 쪽으로 투자 방향이 지속될 수 있는 업체로의 주식 편입을 생각해보아야 겠다.

 . 미래기술에 대한 언급과 수소전기차 등 미래 산업 자동차에 대한 언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 섬유패션사업에도 관심을 보였는데, 코웰패션 및 국내 의류 라이센스 사업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듯 하다.

 

<보유종목 공개>

5G 업종에 크게 치우쳐져 있는 보유,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생각하며 반성해야겠다.

앞으로의 상승 가능성을 보고 있으나, 돌파매매를 진행했던 만큼 매수가가 부담

머큐리는 물려서 보유물량 비중을 많이 줄여놓은 상태, 반등 시 손절 후 향후 다시 진입.

인터로조의 매입가는 지속 낮출 예정, 에이스테크 조정 양상 보일 시, 매도.

<관심종목>

<케이씨텍 : 반도체부문/디스플레이부문 업체>

 . 케이씨텍은 반도체 전공정 업체이며, 반도체 소자업체(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의 설비투자계획에 따라 제조장비 매출액이 달라짐.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 사용되는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반도체 CMP/세정 장비, 디스플레이 Wet-station/Coater 장비, 반도체 Slurry 등 Line-Up.

 . 정부 정책의 차세대(OLED) 디스플레이 산업 혜택.

매수가 : 18800원 ~ 19200원

손절가 : 18000원

1차 목표가 : 22000원

2차 목표가 : 24800원, 돌파 시 지속 보유.

<플랜트 사업>

 . 플랜트 산업이란 전력, 가스, 석유, 담수 등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공급하거나 공장을 짓는 산업입니다. 원료나 에너지를 공급하여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하게 하는 장치나 공장 시설 또는 생산시설 사업.

 

<동성화인텍 : LNG선 수요 급증, 플랜트 사업 수혜>

 . 1990년 국내 최초로 CFC 대체 물질을 이용한 Polyurethane-system 개발, 국내 최초의 UL인증 난연 PU foam의 상업화, LNG배관용 초저온 보냉재의 국산화, 세계 세번째로 LNG 선박용 초저온보냉재 R-PUF의 개발, 한국형 LNG육상저장탱크용 초저온보냉재 개발, 세계 최저 LOW BOR 절감 기술 등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 최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폴리우레탄 수요가 급증하면서 세계의 폴리우레탄 생산 중심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중국으로 이동, 향후에는 저유가 기조와 낮은 제품 가격에 의해 폴리우레탄 수요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

 . 폴리우레탄 단열재 사업, 폴리우레탄 시스템, 샌드위치 패널, 냉매가스, 방재시스템

 . 원전의 위험성과 화석연료의 오염물질 규제로 인한 대체에너지로 LNG가 적극 부각되면서 LNG선과 해양플랜트 FLNG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

. 중요한 건, PU단열재(폴리우레탄 단열재) 사업 -> LNG 가스 -> 초저온 보냉재 수요 증가

매수가 : 9200원 ~ 9400원

손절가 : 9000원

돌파매매 : 9500원을 양봉 돌파 후, 종가 맺음 시, 시장가

1차 목표가 : 11000원

2차 목표가 : 11000원 돌파 시 보유 후, 목표가 A/S

 

<한국카본 : LNG선 수요 급증, 플랜트 사업 수혜>

 . 카본 프리프레그는 고강도, 고탄성을 특징으로  그 용도가 무한한 복합소재이며, 철과 비교하여 강도는 10배, 중량은  ¼에 불과해, 경량화 신소재로써 산업 다방면에 접목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낚싯대, 골프채, 스키 등 주로 스포츠레저용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후 항공우주사업을 비롯한 차량 경량화 사업·전자, 건축, 수송사업 등사업 전반에 걸쳐 사용량의 증대를 예측

 . 일시적 선박 공급과잉 및 유가 변동성에 의해 침체되었던 해양 가스전, 미 셰일가스 수출 프로젝트들의 개발 재개 움직임이 포착, 북미 셰일가스 지역 및 호주, 아프리카의 LNG생산지로부터 유럽, 아시아 및 신흥국으로의 LNG 수입계약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LNG 관련 선박의 지속적인 발주 증가가 진행

 . 전 세계적으로 기후온난화, 이산화탄소 배출규제에 대한 대책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운송기관의 에너지 소비 절감 대응책의 하나로써, 부품·소재의 경량화가 중시되고 있으며, 탄소섬유 등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경량화 소재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

 . 탄소섬유사업은 당사와 SK케미컬, TB카본이 스포츠레저용 및 산업용 시장을 과점

 . 최근 LNG 화물용 초저온 보냉자재 공급계약을 따 내었는데, 매출액의 28%를 차지한다.

 . 국민연금에서는 한국카본에 대한 보유율을 12.11% 로 늘렸다.

한국카본에 대한 국민연금 보유율

 

매수가 : 8000원 ~ 8450원, 비중 조절

돌파매매 : 매집 파동의 161.8%인 9000원을 양봉 돌파 후, 종가 맺음 시, 시장가

손절가 : 7750원 하단 종가 맺음 시

1차 목표가 : 10000원

2차 목표가 : 11000원

 

한국카본 - 주봉, 삼각수렴 돌파
한국카본 - 일봉, 목표가

<인터로조 : 콘택트렌즈 2위 기업 / 환율 수혜 및 저평가와 성장성 겸비>

 1. 국내 콘택트렌즈 2위 기업, 최근 미용렌즈 시장급성장, 단기착용렌즈(1회성/원데이렌즈라고 함) 시장 급성장중. 
  - 콘택트 렌즈 1위 기업은 미국의 존슨 앤 존슨 아큐브, 시장점유율 31%, 인터로조 18%, 바슈롬 10% 
 2. 소프트렌즈 외 치료, 노안, 난시용 등 기능성 렌즈 기술도 보유함. 
 3. 1 Day disposable 54.2%, FRP 41.64%(착용주기가 2-4주인 렌즈), Conventional 3.72%(착용주기가 1달 정도인 렌즈)의 매출 구성. 
 4. 2010년 176억 원의 매출액 이후 17년까지 매년 25%씩 성장하는 회사였으나, 작년 18년 처음으로 역성장(-20%)을 기록하며 주가가 하락. 
  - 원인 : 중동 지역 매출 둔화로 일본 및 중국 매출 확대로 커버할 수 있을지 기대. 
 5. 원화 환율 약세에 따른 해외업체와의 경쟁력 수혜 기대.   

 6. 안정적 재무구조, 부채비율이 매년 줄어드는 회사. 19년 2월 20일 ~ 8월 20일까지 40억 원 자기 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 당사는 현재까지 USA(FDA), EU(CE), China(CFDA), Brazil(ANVISA) 등 대륙별 주요 8개국의 제품 인증 및 허가를 보유

 . 콘택트렌즈 산업은 변동원가 비중(특히 원재료 비중)이 낮아 일정 생산량(Critical Mass) 이상에 도달하면 레버리지 효과로 이익규모가 급증하는 고부가가치 산업

 . 콘택트렌즈 제조업체의 주 매출처는 안경원으로, 안경원과 직접 거래하거나 대리점 또는 Dealer를 통해서 제품을 공급, 국내의 경우 전국의 약 7,300여 곳의 안경원이, 해외의 경우 각국의 Agent, Distributor, Dealer가 영업대상

 .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안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노안 환자가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따라서 노안용 렌즈인 Multi-focal렌즈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메이저 기업에서도 Multi-focal 렌즈 공급을 시작

 

 . 18년 11월 발생한 하락은 과매도 구간으로 해석, 이를 뒷받침 하는 큰 거래량과 수급이 들어오며 턴 어라운드.

 . 5개월간의 박스권 횡보 후에 상승 1 파동, 다우이론에 근거한 침체기를 벗어나는 매집 파동 이후의 상승 파동 기대.

 . 각 패러렐 채널로 그린 박스권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상승 추세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의 홀딩 전략. 

 

매수가 : 25500원 ~ 25900원, 비중 조절 (평단가 내릴 예정)

돌파매매 : 27000원을 양봉 돌파 후, 종가 맺음 시, 시장가

손절가 : 23500원 하단 종가 맺음 시

1차 목표가 : 강한 되돌림의 61.8%의 28000원

2차 목표가 : 피보나치 배열상의 78.6% 및 이전 저항구간의 하단 30000원 ~ 31500원

 

인터로조 - 일봉

 

<일반전기전자업종/IT부품업종 위주의 5G>
. LTE 시대와도 마찬가지로, 5G 업종의 시장 자체가 커지는 시장으로 관련 업체 수익다각화 실현.
. 정부 정책과의 힘에도 힘 입을 수 있는 섹터로 예상, 중국과의 수출/내수 기대.
. 소비자 입장에서의 5G 업종의 실패를 언론이 이야기하지만, 관련 기지국 건설과 같은 업종에 실적 수혜 예상.

 

<금융업과 증권업종 그리고 사이버결제시스템>
. 금융공동결제망 '오픈뱅킹'을 전면 시행하겠다는 정부정책 발표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4/231342/
. 가치적으로 금융업종에 해당되는 업종의 가격메리트
. 금융업종차트에서 약한 되돌림 저항선을 뚫고 상승하는 강한 상승세 V자형 파동 발생.
### RISK ###
.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종목에 한하여 매매되어야 할 것.
. 단기적인 대응으로 치뤄져야 할 것.
. 미국에서부터 건너오는 실적시즌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 실적이 안정된 은행/증권/지주 투자해야 할 것.


<제지업종>
. 제지업종 중, 지류보다는 골판지업종에 있는 제지업종에서 큰 상승세를 보였음.
. 대장주는 삼보판지로, 향후 앞으로의 주가추이에 삼보판지의 움직임에 반응할 가능성이 큼.
. 2등 종목으로 신대양제지, 아세아제지, 태림포장에 가능성이 실림.


<신용평가업종>
. 주포 세력들의 매도포지션의 움직임이 포착되지는 않고 있으나, 매수포지션으로 보기엔 늦음.
. 피보나치 되돌림 상 매도포지션은 아니겠으나, 보유자의 영역임.


<미국>
. 미국에서 실적주에 대한 이야기가 스물스물 나오고 있음.
. JP모건의 1분기 미국의 어닝시즌을 보여주며, 미국에 다시 한 번 상승세를 보여주는 흐름.
. 화요일, 넷플릭스와 IBM의 실적의 향방으로 미중무역분쟁으로 인한 1분기 실적흐름 여파를 가늠하여야 함.
. 펩시코, 유나이티드헬스, 존슨&존슨, 애보트랩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도 이번주 주목할 지표임.
. 4월 18일, 미국의 소매판매 지수 확인 필요

<중국>
. 중국은 4월 17일, 1분기 GDP를 발표, 예상치에 걸맞는 성장률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
. 예상치를 하회할 경우, 한국시장 쇼크 예상.
. 매 달 지표화하는 산업생산 및 주택 고정자산투자 그리고 소매판매 발표가 예정됨.

<환율>
. 원화가 약세이던 구간에서 보합세로 돌아오는 수치를 보여줌. 현재 1133원
. 단정짓기는 어려우나, 3월 실적시즌과 더불어 배당금을 받아 낸 외국인투자자들의 달러 환전 영향으로 해석.

 . 이전 게시물(2분기언급종목)에서 언급했던것처럼 신용평가정보 업체에서 상승이 일어나는 모습입니다.

 . 고려신용정보는 더 아래에서 샀는데, 이것도 추가매수하면서 수익률이 상당히 줄어들었습니다. 역시 비중이 가장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낍니다.

 . 코웰패션도 이전 게시물(2분기언급종목)에서 언급했던 종목입니다.

 . 제지업체에서도 큰 상승을 보여줬으나.. 사고 싶은 종목은 많으니 사질 못했습니다. 삼보판지와 태림포장이 가장 매력적인 상승세를 보여줬습니다.

 . 영인프런티어와 도이치모터스 중, 선택해야하는 상황이 가장 힘들었던 선택이었는데 도이치모터스를 택했습니다.
   처음엔 둘 다 매수했는데, 영인프런티어/네패스를 팔고, 도이치모터스를 추가 매수하면서 평단가가 올라가버렸습니다.

 

 

 . 추가로 최근 매매했던 네패스와 한국경제TV 입니다. 네패스는 비메모리 반도체 업체로, 2분기언급종목의 반도체종목 중 하나였습니다.

 . 한국경제TV의 첫 번째 Sell은 실수로 한 번 팔았습니다.

 . 향후 추가 상승세가 보이겠으나, 더 매력적인 종목이 보이면 손가락이 가만히 있질 않네요.

 

 

2008년 금융위기와 2018년 코스피의 하락

2007년 모기지 관련 회사들의 4월, 8월 파산, 파산이라는 이슈에도 불구하고 주식은 한 번의 조정 후 다시 한 번 랠리,

이후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리만브라더스 파산이 줄지어 왔다.

 

2007년 11월 초 마지막 고점 이후 발생한 하락 대비 피보나치 되돌림이 50%인 중간되돌림이 나타났고 본격적인 하락이 진행되었다.

 

당시에는 헤드엔숄더 패턴과 더불어서 가장 고점인 2007년 11월 Double Top Pattern도 함께 발생한 것이

현재의 코스피(KOSPI)의 2018년 2월 폭락과 비슷한 패턴이 이어졌다는 점이다.

다만, 차이점은 나스닥에서는 50%의 중간 되돌림이 나타났고, 코스피에서는 38.2%의 얕은 되돌림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2018년 코스피 하락은 과거 예측한 적이 있다 : https://utopiand-reamers.tistory.com/81

2008년 금융위기 NASDAQ
2018년 2월 KOSPI

 

2000년 IT산업 버블붕괴

2000년 발생한 버블붕괴에서도 Double Top Pattern을 맞이하며 하락이 시작되었고

이 버블붕괴에서의 하락도 피보나치 되돌림은 강한되돌림의 61.8%의 아래까지 기술적반등을 보였다.

2001년 IT산업 버블붕괴

현재의 나스닥 차트 시사점

2001년 IT산업 버블붕괴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공통적 부분은 피보나치 되돌림 조정 영역에서 기술적반등치만큼의 조정치(얕은/중간/강한되돌림)를 보여줬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재는 피보나치 되돌림의 모든 조정 영역을 뚫어버렸다.

이는 기술적반등으로 상승한다는 해석보다는 시장 전반적인 턴 어라운드 관점을 시사할 수도 있으며, 현재 시장참여자들의 NASDAQ 시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시장의 상태

현재 발표된 경제 시장 지표는 모두 좋다.

현재로써 발표된 모든 지표가 호조세를 밝혔다.

CNN BUSINESS에서 공개하는 공포와 탐욕지수에서는 Greed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의 PMI제조업 지수는 50을 상회하며 호조지표를 나타냈고

미국의 ISM제조업 구매자 지수 또한 50을 넘고, 발표치가 예측치를 웃도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의 소매판매 지수 또한 18년 12월 마이너스 수치를 기록했는데, 이후 발표되는 지수에서 회복세를 보였다.

북한이라는 지정학적 risk와 미-중 무역분쟁의 흐름만이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거리가 될 수 밖에 없다.

 

공포와 탐욕지수
중국 PMI제조업 지수
미국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미국 소매판매지수

 

시장 신뢰성 : 이전만큼의 큰 금융위기는 아니거나 아직은 아니다.

현재 동일한 패턴으로 하락하였으나, 큰 시장 충격 없이 버티고 넘어갔다는 점이다.

하나금융그룹 R의 공포 극복기 리포트에 따르면, 과거 장단기 금리역전현상에서 현재와의 차이점을 언급했다.

1) 과거 대비 현재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다.

2) 과잉투자 버블 징후가 미약하다.

3) 글로벌 주요 금융기관의 크레딧 리스크 발발 여지가 제한적이다.

구리와의 상관관계? : 확실하지 않고, 단정짓기 어렵다.

또한, 2007-2008년 때엔 산업지수로 통용되는 구리의 가격이 금 가격 대비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는데

이는 산업 전체적으로 과잉생산을 통한 구리의 대량 매입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었으나,

이 당시 구리가격의 공급도 차질이 생긴 것으로 단순히 구리가격의 상승이 버블이다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2006.8.28] 세계 최대 구리광산 파업 ‘구리가 금값’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52409.html

앞으로의 금융위기 발발 가능성

금융위기? : 아직 시작도 안 했는데?

미.국채 10년물과 2년물 간의 장단기금리역전이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생각해보면, 18년 하락과 현재 나스닥의 큰 상승세가 이 공포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공포를 어느정도 반영한 하락이라는 점에는 일부 동의하며, 나스닥의 버블 상승일 가능성에 대한 부분을 어느정도 시사할 수 있다.

이 의미는 현재는 좋고, 나중엔 나쁠 수 있다는 의미로도 받을 수 있는데, 향후 나쁠 것을 예상하면서도 현재가 좋다는 의미는 버블을 의심캐하는 해석이기 때문이다.

미국 10Y-2Y : https://fred.stlouisfed.org/series/T10Y2Y

장단기금리역전, 발생하면 언제 금융위기가 발생할까?

이를 통해 10Y-2Y 장단기 금리역전 발생 시, 증시 고점 및 경기불황이 경과하기 까지의 기간을 대충 추론할 수 있다.

장단기금리가 위 사진과 같은 상태로 하락한다면 앞으로 2019년 4분기에서 2020년 1분기쯤이면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경기불황이 1개월에서 1년 정도의 시점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2020년 1분기 - 2021년 3분기 사이까지 경기불황이 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뉴스 전체 요약 : 미중무역전쟁 잘 해결되면 시장 좋은 것 같네?

<정리>
요약 : 3개월 단기채권 금리 급락, 10년물 올라, 장단기금리역전 단기적 해소.
1. 트럼프가 즉각 금리 내리라고 압박, 트럼프는 내년 11월 재선을 앞두고 경기 부양을 위해 파월을 집중적으로 파고들 생각.
2. 트럼프대통령은 인터뷰에서 “Fed가 실수로 금리를 올리지 않고, 터무니없는 시점에 양적긴축을 하지 않았다면 3.0% 국내총생산(GDP)이나 증시는 모두 훨씬 높아졌을 것이고 세계 시장은 훨씬 나은 상황에 있었을 것”이라고 코멘트.
3.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하면 5~7개월 후, 경제불황이 찾아왔으나 금리역전현상 단기적 해소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904015585i

<정리>
요약 : 중국에 봄이 오는 것 아니냐?
1. 제조업PMI지수 50 위로 상승하여 경기 회복세
2. 아래 뉴스에서는 4월 1일(오늘) 미국 제조구매지수(ISM) 지수 상승
 : https://m.sedaily.com/NewsView/1VHP3WFJJO/GA0105

<정리>
요약 : 주가 오를거라 예상하며 투자자들 상승 파생상품에 베팅
1.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 가격이 단기에 급락하면 떨어진 만큼 다시 반등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하락 시점에 ELS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대안"
2. 올해 들어 미국과 중국이 무역보복을 유예한 채 협상을 이어가고 있고,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등 통화정책 기조가 완화적으로 바뀐 게 주식 등 위험자산의 선호 심리를 키우고 있다. 증시 하락보다는 상승에 베팅하는 투자자가 늘면서 ELS를 묶은 ELF로 자금이 쏠린 것이다.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401_0000606230

<정리>
요약 : 대만증시 강세 / 대만도 반도체 Foundry 업체 등 대만과 한국은 경제적 공통점이 많아, 꼭 그렇진 않지만 비슷한 움직임을 보여옴.
1. 금융과 화학주는 차익실현으로 하락 / 시멘트, 식품, 전자기기 상승
2. 전자기기업종 훙하이정밀 상한가, 반도체설비업종 롄파과기, 컴퓨터업종 광다전뇌 상승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401_0000605977

언급 종목 다시보기 : https://utopiand-reamers.tistory.com/83

 

2019년 1분기 국내 귀 기울이게 될 주식 종목

2019년 1분기 국내 귀 기울이게 될 주식 종목 ■ 주의 ≫ 이는 절대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분석의 일부를 제공, 그 외에는 투자자께서 직접 분석해주시..

utopiand-reamers.tistory.com

▶ 빙그레

 . 언급된 120일선 위에 안착하지 못하며, 72,500원 선에서 하락포지션 발생, 매수 금지 종목 선정.

 . 이동평균선이 좁혀지기 이전에 턴어라운드형 지지선(68,000원)을 하락하며, 관심종목 제외.

▶ 롯데정보통신

 . 31,000 ~ 36,150 원 분할매매, 1월 10일, 거래량 60일선을 돌파하는 대량 거래량 동반으로 공격적 매수 시그널.

 

▶ 큐브엔터

https://utopiand-reamers.tistory.com/85

 

큐브엔터 - 컵과 손잡이(Cup and Handle) Pattern 결과

컵과 손잡이 Cup and Handle Pattern 분석글 : https://utopiand-reamers.tistory.com/84?category=706137 1분기 시장세가 뒷받침되면서 강하게 치고나가는 1분기였습니다. 아직까지도 강세장이 지속되고 있지만..

utopiand-reamers.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