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인도 시장에 무척이나 관심이 높았는데 정리하기는 귀찮았고..
그렇기엔 2019년에 여러가지 Signal이 포착되면서 기다리다가 오늘에서야 정리해봅니다.
서론
. 인도시장에 관심이 높은 투자자들은 모두 알겠지만, 인도 SENSEX 지수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계속 상승중.
. 2007년, 9.8% 성장하던 경제성장률이 2013년에 4.4%까지 추락하며 경제침체기가 발생.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014년 5월 26일 취임, 핵심 공약으로 경제성장을 내세우며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유시장 경제를 지지하는 '모디노믹스'를 추진. → 경제 좋아짐, 지지도 상승
. 2019년 5월 모디 총리 재취임.
인도 채권 한국 중개처
. 한국투자증권 : 19년 5월 30일 기준, 판매채권 없음
. NH투자증권 : 19년 5월 30일 기준, IFC(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인도향 채권 매수 가능 (인도 '우회' 투자)
.. IFC 채권 매수나 India ETF 매수나..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할수도..? 표면금리는 대략 세전 6%다.
.. 모든 해외 채권은 최소 매수금액이 있는데, IFC 채권 최소 매수금액은 200만루피(원화 3000만원) 이상부터
.. 남아공·터키까지…해외채권 투자 늘리는 NH투자증권
. 대신증권 : 확인해보았으나, 취급하지 않음.
리스크
a. 정치적 불확실성 → 해소, : 19년 5월 나렌드라 모디 총리 2기 재집권 성공
: 야당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지역에서 의석을 획득하며, 'New India by 2022'을 슬로건으로 한 모디 정부의 개혁·개방 정책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음. 이에 따라, 회사법 개정, 노동법 간소화, 토지수용법 개정,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
b. 인도는 원유 수입 3위국, 그래서 국제유가 상방향성 리스크 존재. Brent oil이 쌀수록 좋고, 비쌀수록 나쁘다.
.. 미국 셰일혁명으로 미국 원유 재고량에 따라 크게 좌지우지.
.. 원유 최대소비국인 중국이 신용축소 정책과 무역갈등으로 석유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
.. 이에 따라 OPEC과 비-OPEC(러시아) 등의 원유감산 소식에 따라 인도 경제에 영향 예상
.. 향후 원유가격은 OPEC과 비-OPEC 그리고 미국과의 견제 및 상관관계로 인해 안정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c. 인도 루피는 신흥국 화폐로 분류된다. 그래서 신흥국 경제위기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흔들릴 수 있다. 근래는 강보합
d. 엘니뇨 리스크 : 기후로 인한 인도의 막심한 피해
.. 인도는 엘니뇨가 일어날 때마다 곡물 수확량이 평균 4.7%씩 감소하였으며 2002년 엘니뇨 때는 곡물 생산량이 18% 줄었습니다.
엘니뇨 출처: https://if-blog.tistory.com/5632 [교육부 공식 블로그]
e. 19년 5월 기준, 근래 달러대비 원화의 급격한 약세화와 루피화 강세에 따라 현재 시점 투자 시, 상투잡을 수 있음
. 시기적으로 다시 봐야겠지만, 시기로 따진다면, 달러-원화로는 1100원 아래가 적기이고, 루피화가 좀 더 밀릴 때 사는 게 좋다.
. (18년 10월 기준) 미화 대비 현재 원화가 6% 비싸고(손해), 미화 대비 루피도 6% 비싸기 때문에 총 12% 비싸다고 표현할 수 있어서 공격적인 투자자가 아니라면 시기상 현재(19년 5월)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긍정적 부분, 생각의 정리
. 모디 총리 2기 재집권,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모디노믹스 정책에 한 번 더 힘이 실릴 것으로 생각
. 19년 1월부터 외환보유고와 황금보유고의 증가가 눈에 띄며, 미국 달러 강세에 루피화 보합세 (이정도면 괜찮다 생각)
. 최근 미국과 중국 분쟁에 따라 기업들의 인도와 베트남 투자 지속, 분쟁에 따른 반사이익.
. 18년 원유 가격 급락에 따라 인도 무역수지에 긍정 예상 (원유 가격 증가에 따라 리스크 변동 있음)
. 안정된 인플레이션 유지, 19년 선진국 통화정책의 변화와 글로벌 대형은행의 맷집 상승으로 경기확장 후반부 연장 가능성. (from. NH투자증권 신환종 리서치센터장, 신흥국 채권 관련 190514_리포트)
메이크 인 인디아 - 2014년 1기 모디노믹스
1. 모디노믹스는, 인터넷 · 통신 · 교통 등 인프라 개발과 규제완화를 통해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경기를 상승시키겠다는 계획.
2. 우선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방과 보험 분야에서 외국인 직접투자 제한 비율을 현재 26%에서 49%로 완화
3. 정부 재정적자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4.1%로 전임 정부가 설정한 목표를 지키면서, 2016년에는 3%까지 줄이고 경제성장률은 3~4년 내에 7~8% 목표, 당시 베어링자산운용과 모건스탠리는 인도의 향후 10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6.8%로 전망하였는데, 실제로 6~9% 까지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이끌어냄.
※ 인도 정부에서는 2017년 619억 달러라고 했는데, 경제협력기구는 더 낮게 측정한 듯 하다.
2016년 화폐개혁으로 인한 경제 주춤? : 결과적으로 성공.
※ 16년 11월 8일, 화폐개혁 관련 내용
2016년 11월 컬럼(혼돈의 인도 화폐개혁, 이에 맞춰 변화하는 IT기업들)
2016년 12월 기사(수익률 신통찮아도 돈 몰리는 인도)
2019년 1월 컬럼(인도 모디 정권의 승부수① '인도 화폐개혁')
메이크 인 인디아 한번 더? - 2019년 2기 모디노믹스
- reference
"하반기, 인도 증시 주목.. 모디노믹스 탄력으로 청신호"
SENSEX 지수를 통한 최근 나름 큼지막했던(?) History
. SENSEX 지수 주봉을 토대로 어떤 부분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는지 최근 연도 순으로 인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모디 총리의 모디노믹스에 대한 경제적 지지도가 높고, 신흥국으로 분류되며 원유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다.
정치
. 정당별 인도 하원의석에서 인도국민당 우위
집권여당(BJP) 선거공약 내용
. BJP의 공약 발표, 정부정책의 연속성 강조
. BJP 공약집은 1차 투표일 직전인 4월 8일 발표됐으며, 모디총리, BJP 당수의 인사말과 국정과제 및 정책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 공약발표회에서 모디 총리는 ‘연임하는 정부가 내놓는 최초의 공약’이 될 것이 말하며, 연임 자신감을 비치는 동시에 정부 정책의 연속성을 강조
‘강한 인도.’ 2022년까지 새로운 인도 건설
. 공약집의 표제는 ‘Sankalpit Bharat, Sashakt Bharat(여러분에게 강한 인도를 약속합니다)’로 지난 총선에 비해 안보 이슈를 강조
. 2014년: Sabka Saath Sabka Vikas(총체적 노력과 내생적 성장)의 구호 아래 물가 안정, 고용 창출, 정부 개혁, 부정부패 척결 등 6대 당면과제를 제시
. 모디 총리는 2014년 총선이 50년 동안 이어진 왕조적 지배(Dynastic Rule)로 발생한 결핍을 채우는 유권자의 결단이었다고 평가하며, 2019년 총선을 통해 2022년까지 독립운동가들이 꿈꾸었던 인도를 현실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
. 야당인 INC가 1947년 독립이래 집권한 기간은 54년 7일에 이르며, 2022년은 인도독립 75주년임.
정치부문은 공공누리에 따라 Kotra 해외시장뉴스의 공공저작물 내용을 참조합니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인도 채권
. 한국투자증권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인도 채권 목록 (19.5.30 기준 판매하지 않음, 아래는 인도 로컬 참고치)
: 자본차익, 환차익, 이자수익 효과
발행 | 종목명 | 등급 | 위험 | 발행일 | 만기일 | 표면이율 |
|
||||||
인도수출입은행 | EXIMBK 9.05 02/22/22 | BBB- (S&P) | 고위험 | 2012.02.22 | 2022.02.22 | 9.05% |
인도철도금융공사 | INRCIN 8.83 03/25/23 | BBB- (S&P) | 고위험 | 2013.03.25 | 2023.03.25 | 8.83% |
인도식량공사 | FCIIN 9.95 03/07/22 | BBB- (S&P) | 고위험 | 2014.03.07 | 2022.03.07 | 9.95% |
※ 각 채권 가격 차트
[철도] India InfrastructureIndia Infrastructure Finance Company, 8.83% 25mar2023 : http://cbonds.com/emissions/issue/248953
[식량] Food Corporation of India, 9.95% 7mar2022, INR : http://cbonds.com/emissions/issue/248919
. 떨어지다가 요 근래(18년 9-10월부터) 반등.
[은행] Export-Import Bank of India, 9.05% 22feb2022, INR : http://cbonds.com/emissions/issue/213283
외교관계
. 관계는 참 오묘하다. 파키스탄과 중국이랑 사이가 나쁘다가도 경제적으로는 중국과 친한건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5/354425/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56642/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59099/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5/349946/
http://news1.kr/articles/?3632121
※ 아래부터는 인도 경제지표
황금보유고와 외환보유고가 최근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물가상승률은 매년 낮아지고 있다.
실업률은 3%대로 안정권을 지속하고 있다.
인구는 당연 계속 늘고있다. 중국을 넘어설 것이라는 보고가 많다.
GDP 상승의 견인은 제조업과 건설업이다.
무역수지 적자는 지속중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한 달간 투자 고려해보아야 할 것들 (0) | 2019.06.09 |
---|---|
2019 멕시코(Mexico) 경제 정리 (멕시코 채권) (0) | 2019.06.01 |
비트코인 분석 - 삼각수렴 패턴 (0) | 2019.05.25 |
5월 투자 및 보유종목과 관심 시장 (0) | 2019.05.01 |
비트코인-상승지속깃발형 출몰가능성 (0) | 2019.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