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 본사를 둔 Standard Chartered의 최근 전망에 따르면,
현재의 신흥국 시장이 향후에도 강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Standard Chartered에서는 인도네시아, 터키, 브라질, 이집트와 같은 개발도상국들이 모두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30년에는 세계 10대 경제국 중 7개국이 신흥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30년까지 인도는 두 번째로 큰 경제대국이 될 것이며, 그 때쯤에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가 될 것이다
인도 인구가 2026년에 중국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 GDP 시장이 2010년 20% > 2017년 28% > 2030년을 35%로,
점차 아시아시장 크기(영향도)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에 제공된 IMF의 GDP에 대한 최근 데이터와 비교한 것이다.
표의 오른쪽에 이 두 데이터 세트를 직접 비교할 경우의 잠재적 변화율이다.
Rank | Country | Proj. GDP (2030, PPP) | GDP (2017, PPP)% | change |
#1 | China | $64.2 trillion | $23.2 trillion | +177% |
#2 | India | $46.3 trillion | $9.5 trillion | +387% |
#3 | United States | $31.0 trillion | $19.4 trillion | +60% |
#4 | Indonesia | $10.1 trillion | $3.2 trillion | +216% |
#5 | Turkey | $9.1 trillion | $2.2 trillion | +314% |
#6 | Brazil | $8.6 trillion | $3.2 trillion | +169% |
#7 | Egypt | $8.2 trillion | $1.2 trillion | +583% |
#8 | Russia | $7.9 trillion | $4.0 trillion | +98% |
#9 | Japan | $7.2 trillion | $5.4 trillion | +33% |
#10 | Germany | $6.9 trillion | $4.2 trillion | +64% |
1950년 > 2015년 > 2050년으로 년도가 변하면서 예측하는 인구의 패더라임이다.
인도를 경제대국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경제전문가들은 현재까지도 암암리에 유지되는 계급
그리고 날씨 그리고 중앙집권체제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다.
어떻게 이를 변화해갈지 지켜봐야 한다.
'내가 알고싶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나노 공정에 도달하기 위한 삼성의 GAA(Gate All Around) Tr (0) | 2019.11.03 |
---|---|
돈이란 무엇인가 - 1 (0) | 2019.04.13 |
파시즘과 나치즘 그리고 발생된 배경 (0) | 2016.10.23 |
한국/국내 원자력발전소 현황과 운영 (0) | 2016.09.27 |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한국원전과 같은 종류의 원전 가압경수로, 미국에서 발생한 최악의 원전 사고 (0) | 2016.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