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 의견
  1. 미셰우 테메르 2016년 연금개혁 공약, 55세에서 10년 늦추고 연금보험료 최소 기간 15년에서 25년으로 늘리겠다고 발표, 그러나 노조와 시민단체를 통해 복지축소 반발에 수정. 2018년 10월(차기정권)으로 연금개혁 공약을 미룬 상태.
  2. 변동성 커지겠지만, 분할매수 기회의 시점으로 보는 중, 대선 8월 이후 후보 등록이 마무리 되고 10월 투표 예정인 만큼 18년도 투자 리스크 완화 기대
  3. 가장 중요한 건 연금개혁이 포인트, 국민들 또한 이 문제를 알고있으나 축소해나가길 원치 않음. 정치적으로도 약소하게나마 점진적 개선 나아갈 것으로 기대.
  4. 낙관적 전망론이 많으나, 이론일 뿐 실제로 그렇게 흐를지는 본인의 판단에 맡겨야 함.
  5. 브라질 헤알이 역사적 저점을 갱신하는 중임, 턴 어라운드 및 바닥이 어디인가를 잘 판단하는 것이 포인트가 될 것으로 생각됨.

  • 투자방법
  1. 증권사마다 상이하겠으나, 알아본 결과. 대부분 증권사 직접 방문
 
  • 2018년 브라질 개요
  1. 인구 2억 1천만 (세계 5위) / 국토면적 851만 5000km^2 (세계 5위)
  2. GDP 2조 550억 (세계 8위) / 1인당 GDP 9,895달러 (세계 67위)
  3. 국가신용등급 negative→stable로 outlook 전환


  • 경제 상황
  1. 은행금리 10% 대출이자 60% 은행마진 50%의 폭리를 취하고 있어 브라질의 부는 은행권시장이 거의 독점
    17년 은행이자 72%, 이번년도 은행이자 55.8%
    > 에너지 및 자원투자 기업 대세였으나, 인플레이션이 안정화 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폭리를 취하고 있음.
    > 브라질 주식에 투자해야한다면 금융권 투자가 유리할 것으로 예상 및 전망.



  2. 브라질 경제 인플레이션이 2016~2017년 11% 대비 2% 대로 대폭 감소
    > 인플레이션 안정화, 이후에도 안정화 할 것으로 전망.
  3.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2014년 이후 크게 상승중이며 증가속도가 빠름.
  4. 브라질 실업률 지속 상승중. 향후 10%대 횡보 기대.



  • 경제 동향
  1. 2018년 브라질 경제 낙관론 우세, 실업률은 두 자리수 예상
  2. 경제활동이 회복세를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어 2018년 성장률 전망치를 2.2% → 2.6로 상향 조정.
    (브라질 중앙은행의 주간 경제동향 보고서 'Boletim Focus')

  3. 중산층 증가, 이로 인한 내수 소비 활성화 기대

  • 투자 포인트
  1. 브라질 국채 수익률 10%로 수익성이 괜찮음.
    > 2018년 4월 말 브라질 금리 & 헤일화 기준 향후 10년간 원화 대비 80% 이상 절하되지 않으면 국내 채권보다 이익.
  2. 브라질 채권 가격이 높지 않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음.



  3. 브라질과 한국간의 조세협정을 통한 토빈세 폐지로 비과세 적용
    > 브라질 국채에서 나온 이자수익은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포함되지 않음.
  4. 2018년 말 선거를 통해 출범하는 새로운 정부를 통해 연금개혁 이루어질 경우 평가 절상.
    > 국가신용등급 상향에 따른 투자 세력 대거 진입 가능성 내포
  5. 브라질 주요 컨설팅 업체들의 차기 정부가 끝나는 2022년 경제 전망 중 낙관적 전망이 GDP 8조 헤알 / 가장 비관적 6조 4000억 헤알
    > 가장 비관적인 전망으로도 GDP 3배 성장 예상.

  • 리스크 포인트
  1. 금리의 영향보다는 브라질 화폐(헤알)에 손익이 발생
    a. 달러가치와 브라질 헤알과의 차이 > 달러인덱스에 따라 헤알 절상/절하
    > 달러 상승 시, 헤알 절하 / 달러 약세 시, 헤알 절상하며 자원가격이 상승해도 달러가 강세일 시 헤알 절하.
    > 최근 달러 가격은 상승보다는 중단기적 반등세로 취함, 단기 1088달러 / 중기 1244 달러 매물벽 존재로,
       당분간 달러 가격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환율 안정 유지.

     c. 브라질은 자원수출 의존도가 크며 자원가격에 따른 헤알 가치 변동
     d. 브라질 경상수지, 현재는 적자중.
     e. 한화가치 대비 헤알가격의 차이, 원화 강세 시 손실 / 약세 시 이득
  1. 룰라 전직 대통령의 대통령 선거 참가 여부 및 대선 결과에 따라 정치 및 경제 혼란 재발 가능성 있음.
  2.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 해소 및 경기 심리개선, 회복 상승으로 원화 평가 절상, 이로 인한 헤알화 절하 가능성 내포.
  3. 채권 이율(%) 상승 시, 이미 구매한 채권의 가격 절하 가능성 숙지 필요.
    > 시장이 좋을수록 채권이율은 낮아지고, 나쁠수록 채권이율은 높아지며 국가평가등급에 영향을 받기도 함.
  4. 세계 기축통화 미국이 금리 인상 시 GDP 대비 높은 부채 비율의 나라의 경우 이자비용 부담이 커지며 위기 발생 가능성 있음.


  • 정치




  • 참고 reference
  1. 무디스 "브라질, 연금개혁 안 되면 국가신용등급 상향 어려워" - 2017/10/12
  2. 브라질 국가신용등급 '정크 탈출 가능성' 잇따른 청신호 - 2018/04/11
  3. Trading Economics - Brazil
  4. 경제주평_2018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_180316 참고 - 구글 검색.
  5. 한국일보 : : 브라질 화폐개혁/외국인 생활고 “불똥”
  6. 연금개혁 무산된 브라질 국가신용등급 하락
  7. 미래에셋대우 투자 정보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