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점

 ≫ 한국 원전이 안전하다. 사고가 난 적이 없다는 것은 믿기 어려움, 과거 역사에서 박정희대통령은 핵 개발을 위해 가압중수로를 들인 적이 있었음. 한국의 구리 원전의 경우 방파제가 취약하여 해일에 대비책이 필요함. 한국 한울 원자력 발전소는 2007년 한국에서 최다 고장 기록함.


원전사고 문자알림 신청하기


■ 원자력안전위원회 의원, 동국대학교 교수 김익중

 ≫ "1979년 미국의 스리마일 원전사고, 1986년 구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 2013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들에서 공통점을 찾다가 발견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확률입니다. 원전 개수가 많은 나라 순으로 사고가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김익중 교수가 방송에서 한 발언이다. 미국은 104개, 사고 당시 소련은 66개, 일본은 54개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 순서대로 사고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원전 23개를 운영하고 있지만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이 5개, 2022년까지 총 42개를 완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미국에 이어 소련, 그리고 일본에서 원전사고가 났다고 하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고는 원전대국들에서 발생한 것이다. 원전개수가 많은 순서대로라는 것인데, 이 시점에서 저자 김익중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해 봤다고 한다. 저자의 추정치는 27%, 참고로 저자는 서울대에서 의학과 미생물학을 졸업했다. 일본 보험회사의 계산법대로라면 30~40년 내로 한국에서 핵사고가 날 수 있다고 한다.

 ≫ 김익중 교수가 제시하는 해결책은 일단, 원전의 개수를 늘리는 것에 문제를 제기한다. 후쿠시마사고 이후 중국도 일년간은 원전공사를 하지 않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독일,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 등은 탈핵의 과정을 밟고 있고, 유럽의 최대 원전대국인 프랑스마저도 원전 개수를 줄이는 것이 대통령 공약사항이라고 한다. 정부가 원전을 없애고 지금부터라도 태양열 등의 재생가능에너지 개발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한다.



■ 현재 한국 원전은 몇 대이며, 생산 용량은 얼마일까?
 ≫ 대한민국은 2015년도 기준으로 4곳의 원자력 발전소와 24기의 원자로를 가동중이다. 발전량 기준으로는 세계 6위이며, 회사 단위로는 세계 2위의 원자력발전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있다. 원전은 한국 내 전체 전기 생산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 원자력 발전소는 2001년 4월 2일 설립된 한국전력공사 계열 발전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독점 운영하고 있으며, 2011년 10월 26일 설립된 대통령 직속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감시감독을 받고 있다.
 ≫ 현재 원전은 4곳이 있다. 한울, 월성, 고리, 한빛이다.


■ 상업운전 개시 순서로 보기

구분

상업운전 개시

원자로형

설비용량 (kW)

고리 1호기

1978년 04월 29일

가압경수로 (PWR)

58만 7천

월성 1호기

1983년 04월 22일

가압중수로 (CANDU)

67만 9천

고리 2호기

1983년 07월 25일

가압경수로 (PWR)

65만

고리 3호기

1985년 09월 3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고리 4호기

1986년 04월 29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빛 1호기

1986년 08월 25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빛 2호기

1987년 06월 1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울 1호기

1988년 09월 1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울 2호기

1989년 09월 3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빛 3호기

1995년 03월 31일

가압경수로 (System 80)

100만

한빛 4호기

1996년 01월 01일

가압경수로 (System 80)

100만

월성 2호기

1997년 07월 01일

가압중수로 (CANDU)

70만

월성 3호기

1998년 07월 01일

가압중수로 (CANDU)

70만

한울 3호기

1998년 08월 11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월성 4호기

1999년 10월 01일

가압중수로 (CANDU)

70만

한울 4호기

1999년 12월 31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빛 5호기

2002년 05월 21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빛 6호기

2002년 12월 24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울 5호기

2004년 07월 29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울 6호기

2005년 04월 22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신고리 1호기

2011년 02월 28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고리 2호기

2012년 07월 20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월성 1호기

2012년 07월 31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월성 2호기

2015년 07월 24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고리 3호기 (건설중)

2014년 8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고리 4호기 (건설중)

2014년 9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1호기 (건설중)

2017년 4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고리 5호기 (건설중)

2018년 12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2호기 (건설중)

2018년 4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고리 6호기 (건설중)

2019년 12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3호기 (건설예정)

2020년 6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4호기 (건설예정)

2021년 6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 설비용량 순차로 보기

구분

상업운전 개시

원자로형

설비용량 (kW)

고리 1호기

1978년 04월 29일

가압경수로 (PWR)

58만 7천

고리 2호기

1983년 07월 25일

가압경수로 (PWR)

65만

월성 1호기

1983년 04월 22일

가압중수로 (CANDU)

67만 9천

월성 2호기

1997년 07월 01일

가압중수로 (CANDU)

70만

월성 3호기

1998년 07월 01일

가압중수로 (CANDU)

70만

월성 4호기

1999년 10월 01일

가압중수로 (CANDU)

70만

고리 3호기

1985년 09월 3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고리 4호기

1986년 04월 29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빛 1호기

1986년 08월 25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빛 2호기

1987년 06월 1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울 1호기

1988년 09월 1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한울 2호기

1989년 09월 30일

가압경수로 (PWR)

95만

신고리 1호기

2011년 02월 28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고리 2호기

2012년 07월 20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월성 1호기

2012년 07월 31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신월성 2호기[5]

2015년 07월 24일

가압경수로 (OPR-1000)

100만

한빛 3호기

1995년 03월 31일

가압경수로 (System 80)

100만

한빛 4호기

1996년 01월 01일

가압경수로 (System 80)

100만

한빛 5호기

2002년 05월 21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빛 6호기

2002년 12월 24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울 3호기

1998년 08월 11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울 4호기

1999년 12월 31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울 5호기

2004년 07월 29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한울 6호기

2005년 04월 22일

가압경수로 (KSNP)

100만

신고리 3호기 (건설중)

2014년 8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고리 4호기 (건설중)

2014년 9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고리 5호기 (건설중)

2018년 12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고리 6호기 (건설중)

2019년 12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1호기 (건설중)

2017년 4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2호기 (건설중)

2018년 4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3호기 (건설예정)

2020년 6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신한울 4호기 (건설예정)

2021년 6월 예정

가압경수로 (APR-1400)

140만



■ 현재 한국 원전은 몇 대이며, 생산 용량은 얼마일까?

 1. 한국의 고리 원자력 발전소

 ≫ 고리 1호기는 국내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입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지어주었고, 1978년 4월 29일 처음 가동되었으며 원전 4기 주위로 방파제가 있는데요. 사진에서 보듯이 방파제가 매우 허술합니다고리 1호기의 탄생으로 우리나라는 21번째로 원자력 발전을 하는 국가가 되었으며, 2015년 6월 12일 기준, 그동안 고리 1호기는 124건의 크고 작은 사고를 일으켜왔습니다. 이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국제기준에 따라 안전성을 심사한 결과 계속운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2007년 12월에는 결국 주민들과의 합의도 이뤄집니다. 고리 1호기는 이듬해 1월 정부로부터 2017년 6월까지 10년간 운전을 허가받아 다시 가동에 들어가게 됩니다. 2007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주기적 안전성 평가’ 기준과 미국의 ‘운영 허가 갱신’ 기준 등을 적용한 결과 고리 원전 1호기의 원자로 용기와 배관, 각종 구조물 등 주요 기기가 10년간 충분히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이후 고리 1호기는 노후 원전의 대명사로 여론의 불신을 받기 시작했는데요.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태가 전 세계의 이슈였던 2011년 4월, 전기제어장치(인입차단기) 고장으로 원자로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지고 맙니다. 원자력 안전에 특히 민감하던 시기여서 부산지방변호사회가 가동중지 가처분 신청을 내고 지방의회까지 결의안을 내는 등 지역 사회의 반발과 우려가 거셌는데요. 결국 정부는 정밀 점검 결과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리고, 5월 재가동을 허가했습니다.

 ≫ 참고로 후쿠시마 원전 1호기는 1971년 2월에 가동을 시작했고, 일본 정부가 수명을 10년 연장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2008년에 설계수명 30년이 지나자 수명을 10년 연장한것과 닮은 꼴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보다 고리 원전이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고리 원전이 좀 더 안전합니다. 후쿠시마의 경우 전원이 차단되면 수소가 농축되어 폭발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실제로 폭발했습니다. 하지만 고리 원전은 전원이 차단되어도 수소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있습니다.


[구글 지도에서 보기]


관련기사 : <고리원전 1호기 10년 더 가동한다>, 동아사이언스 2007년 12월 07일자

관련기사 : 고리원전 1호기 고장… 재가동 논란

관련기사 : [르포]고리 원전 1호기 가보니…



 2. 한국의 월성 원자력 발전소

 ≫ 고리 1호기가 1978년 가동 시작 후, 1983년 월성 1호기가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그 후 2,3,4호기는 97년~99년 사이에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고리에 비해 방파제도 길게 잘 만들어진 편(붉은색 다각형), 월성 1,2,3,4호기는 가압 경수로인 고리 원전과 달리 캐내다의 CANDU형 가압중수로로 만들어졌습니다. 가압중수로로 개발된 이유는 발전소 건설이 진행되던 박정희 정권 때 핵개발을 진행했고 70년대 중반에 이미 핵무기 설계를 마친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경수로에서는 핵물질을 추출할 때 사용할 연료봉 생산이 힘들기 때문에, 캐나다에서 중수로를 사오게 됩니다. 번외로 인도 역시 CANDU형 중수로로 핵개발에 성공했고 캐나다가 이후 한국에 CANDU를 팔지 않게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외부로 기술을 유출했다는 설)

 ≫ 핵무기 개발을 염두하고 중수로를 사들여왔으나, 중간에 미국 포드 행정부의 방해로 인해 한국은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1979년에 핵연료 재처리 시설의 설계가 끝났고 계획대로라면 1985년쯤에는 플루토늄 핵폭탄을 만들 수 있었을 것으로 추측, 만약 인도나 파키스탄처럼 주변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개발을 했다면, 아마 경제 제제로 인해 현재 경제만큼 부상하지 못했을 것 입니다. 박정희 암살 이후 전두환 정권에서는 한반도 비핵화 선언과 함께 연구 자료와 프로젝트를 전량 폐기했다고 합니다. 한국에 가압중수로 발전소가 있는 이유는 박정희 정권의 70년대 핵개발 열망때문이라는 것.

 ≫ 만들어진지 1년도 안된 1984년에 23톤의 중수가 유출되었고, 1988년에도 누출 사고로 인해 3일간 원자로를 멈춤, 2014년엔 월성 원전이 해킹당했고, 2015년 5월 15일 월성 4호기 사용 후 핵연료봉 낙하사고, 2016년 5월 12일 월성원전 1호기 고장으로 발전이 정지되었습니다.


관련기사 : 원전 해킹..불안감은 여전

관련기사 : 월성 4호기 사용후 핵연료봉 낙하 사고

관련기사 : 월성원전 1호기 고장으로 발전 정지


[구글 지도에서 보기]



3. 한국의 영광 원자력 발전소

 ≫ 다른 발전소들은 다들 동해안에 건설되었는데, 영광만 서해안에 건설된게 이색적입니다. 영광 1호기는 1986년 8월 25일에 운전을 시작했고, 형태는 고리 원전에 사용된 원자로와 유사한 가압 경수로입니다. 1995년에 운전을 시작한 영광 3호기부터는 OPR1000(Optimized Power Reactor 1000=KNSP)이라는 한국형 원자로를 사용하기 시작, 참고로 OPR1000은 북한 영변에 지어주던 경수로와 동일한 형태입니다. 95년부터는 국내 기술 95%의 OPR1000 설계의 원자로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설계 수명은 40년. 기존 고리 1호기의 30년과 비교하여 10년이 더 늘어났습니다.

 ≫ 그림의 왼쪽부터 1호기 마지막 오른쪽이 6호기입니다. 2002년 12월 24일 영광 6호기를 끝으로 이 지역 원전 건설을 끝이난 듯 합니다.

 ≫ 2005년, 김봉열 영광군수는 '영광원전이 가동된 이후 20여 년 동안 124건의 크고 작은 고장이 발생했고 2003년 5·6호기 열전달 완충판 이탈, 동년 12월 5호기 방사성 오염폐수 3500t 바다 유출, 3·4호기 증기발생기 세관 결함이 발생'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관련기사 : 우리나라에 원전 사고가 단 한건도 없었다고?


[구글 지도에서 보기]



4. 한국의 한울(울진) 원자력 발전소

 ≫ 한울(울진) 1호기는 1988년에 프랑스 프라마톰사가 가압 경수로 형태로 지어주었고, 1998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한울 3호기부터는 우리나라 독자 규격인 OPR1000 형태로 지어졌습니다. 앞에 길게 늘어선 방파제가 있습니다. 2001년에 뜨끈한 배출수에 유혹되어 밀려들어온 새우떼와 해파리떼 때문에 냉각용 해수 흡입구가 막혀서 원자로를 잠시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고, 그 외에도 몇번 냉각수 유출 사고가 있었습니다. 2003년에는 5년동안 증기 발생기와 안전 시설을 보강하는 작업을 한 바 있습니다. 2016년 기준 6기의 상업용 원자로가 가동중이며, 발전소 인접 부지에 신한울 1,2호기의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2013년 5월에 울진원자력발전소에서 한울원자력발전소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 2004년 이후 고장 사고로 인한 가동 중지건수가 21건으로, 전체 원자력 발전소 41건의 절반을 차지하여 2007년에 대한민국에서 최다 가동 중지 원자력 발전소로 기록되었으며, 직원의 조작 실수로 인한 고장, 정지건도 총 8건 가운데 이곳이 5건을 차지하였습니다.


관련기사 : 왜 울진原電만 이런일이?…가동중단 사고 최다


원전사고 문자알림 신청하기



출처 및 참고 : 오마이뉴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3yMF&articleno=15601245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7283 그 외 글마다의 아래 관련기사들 참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