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이니치 필사본이란

≫ 15세기 초반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책으로 여러 그림을 포함하고 있으며 알려지지 않은 문자와 언어로 쓰여 있다. 이 책은 송아지 피지로 만든 235 페이지 분량의 고문서 필사본이다.

 ≫ 필사본에는 알 수 없는 문자들과 기이한 형태의 그림들로 구성되어있으며, 그림은 주로 나체의 여인들과 식물, 별, 점성술적인 도표 등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림의 외각은 깃펜으로 그려져 있으며 다양한 색상으로까지 채색되어 있다. 또한 누군가가 쓴 듯한 필기체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발견된 적이 없는 희귀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이 뜻은 절대 알 수 없는 문자로 되어 있다.




■ 이름의 유래

 (윌 프레드 M 보이니치)

 ≫ 보이니치 필사본의 이름은 1912년 7월 12일 이탈리아 로마근교 프라스카티 빌라 몬드라고네 사원에서 윌 프레드 M 보이니치가 발견했으며, 처음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보이니치 필사본>이라고 명명했다.


■ 윌 프레드 보이니치의 고문서 연구가 분석 의뢰 (연금술 서적이다)

 : 아담맥린 (보이니치 필사본이 연금술 서적이라고 주장)


 : 테렌스 멕케나 (보이니치 필사본이 연금술 서적이라고 주장)


 ≫ 아담맥린 / 테렌스맥케나 (보이니치 필사본이 연금술 서적이라고 주장한 학자)

 . 그들의 주장으로는 보이니치 필사본의 문자들을 해독할 수 없는 이유는 자시만 알아볼 수 있도록 암호화된 문자와 그림으로 정리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윌 프레드 보이니치의 고문서 연구가 분석 의뢰 (과학 관련 서적이다)


 : 윌리엄 로메인 뉴볼드 교수 (보이니치 필사본이 과학 관련 서적이라고 주장)

 ≫ 윌리엄 로메인 뉴볼드

 .  사실 실제로는 보이니치 필사본 발견 당시 필사본 안에는 편지가 한장 발견되었다. 편지는 1666년 장 마렉 마르처라는 남자가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라는 로마의 성직자에게 보낸 편지로, 편지 내용에 따르면 보이니치 필사본을 소유하고 있떤 사람은 루돌프 2세이고, 로저 베이콘이 보이니치 필사본의 저자라고 믿고 있었다는 것이다.

  


▶ 그렇다면, 로저베이컨은 누구인가?

 ≫ 로저 베이컨 (13세기 영국의 유명한 철학자이며 자연 과학자)

 . 실제로 보이니치 필사본의 그림을 보면 천체의 형상이나 식물 세포조직으로 추정되는 그림들이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보이니치 필사본은 과학관련 서적이라는 것이다. (윌리엄 로메인 뉴볼드 주장)

 . 그러나,  로저 베이컨이 살던 시대에는 망원경이나 현미경이 존재하지 않았다.

 . 그러자 윌리엄 로메인 뉴볼드 교수는 로저 베이컨은 이미 13세기부터 망원경과 현미경을 발명해 사용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세계최초의 현미경은 자하리아스 얀센이 1590년에 발명하였고, 망원경은 1608년 안경장이였던 한스 리페르세이가 최초로 발명하였다고 알려져있다. 이러한 역사속에서 만약 윌리엄 로베인 뉴볼드 교수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역사를 다시 써야하는 문제 충격적인 사건이라는 것이다.

 . 문제는 로저 베이컨이 어느 역사 문헌에서도 현미경과 망원경을 사용했다는 내용을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윌리엄 로메인 뉴볼드의 주장이 사실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 윌 프레드 보이니치의 고문서 연구가 분석 의뢰 (식물학 관련 서적이다)

 ≫ 레오 레비토브 / 에디스 쉐우드

 . 레오 레비토브 / 에디스 쉐우드 학자는 또 다른 주장을 펼쳤다 보이니치 필사본과 함께 발견된 편지에는 루돌프 2세가 언급되어있었는데, 루돌프 2세는 신비주의에 심취해있었다고 한다.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에드워드 켈리라는 영국인 모험가가 루돌프 2세에게 한 권의 필사본을 소개했고, 그 책을 본 왕은 반색하며 좋아했다고 한다. 그 책을 본 루돌프 2세 왕은 에드워드에게 600 두카토(지금의 돈으로 3만달러 이상)을 지불하고 필사본을 구입했다는 것이다. 또한 루돌프 2세는 보이니치 필사본에 자신의 서명을 쓰고 당시 궁전 식물원 관리자인 야코부스 호르시키에게 연구하도록 지시했다는 것이다. 이는 당시 궁정기록에도 남아있다는 것이다. 당시 루돌프 2세가 식물 관리원에게 연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보아 보이니치 필사본은 식물 관련 서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것이다. 


. 그러므로 보이니치 필사본은 식물학이나 식물도감일 것이다. 그러나, 도감이라면 왜 해독하기 힘든 난해한 문자들로 기술했던것일까? 일각에서는 루돌프 2세를 속이기 위한 아무 의미없는 가짜 문서라는 것이다. 에드워드 켈리라는 남자는 오컬트에 심취해 있는 루돌프 2세를 속이기 위해 돈을 벌 목적으로 알 수 없는 문자들과 기이한 형태의 그림으로 필사본을 완성하고 결국 완벽하게 속였다는 것이다. 즉, 보이니치 필사본은 희대의 사기극에 사용된 결정적인 소품이었다는 것이다.

. 그러나, 장난이라고 하기에는 복잡한 구조와 미묘한 질서를 가지고 있는 문자가 많으며 200여 장이 넘는 방대한 양이 기술되어 있어 장난으로 또는 돈을 벌 목적으로 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많다.



■ 윌 프레드 보이니치의 고문서 연구가 분석 의뢰 (종교 관련 서적이다)

 ≫ 학자들은 다시금 수수께끼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 발견된 빌라 몬드라고네 지역에 주목했다.

 . 처음 발견된 장소를 추척한 결과, 이곳은 한 때 예수회의 교육원이였으며 보이니치 필사본이 예수회 장서 목록에 올라 있었다고 한다. 즉, 보이니치 필사본은 종교 관련 서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용은 인류 문명의 번성과 종말에 관한 예언일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그 내용을 숨기기 위해 암호를 썼다는 것이다. 보이니치 필사본은 여태까지 단 한 글자도 해석되지 않아 발달된 과학기술을 가졌던 미지의 인류가 가졌을 것으로 추정도 하고 있다.


■ 보이니치 필사본 문자 분석해보기

 ≫ 글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있다.

 ≫ 긴 부문은 문단으로 나뉘어 있고, 종종 문단이 시작되는 왼쪽에 일종의 표식이 붙어 있기도 하다.

 ≫ 별도의 문장 부호는 보이지 않으며, 필체는 부드럽고 글을 쓴 사람일 것이다. 

 ≫ 글을 쓰면서 지운 흔적이 없어 분명, 이 글을 충분히 이해한 듯 자연스럽다고 한다.

 ≫ 전체 문서는 17만 여개의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문자들은 약간의 간격을 두고 구별된다.

 ≫ 대부분의 문자는 한 획이나 두 획만으로 쓸 수 있다.

 ≫ 사용된 문자를 어떻게 분류하느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지만 한 두 번 정도 나타나는 특이한 문자를 빼고는 대략 20 종류에서 30 종류의 문자만으로 모든 내용을 쓸 수 있다.

 ≫ 이 문자들은 좀 더 넓은 간격으로 3만 5천여개 정도의 단어로 구분된다.

 ≫ 단어들은 일정한 음성학적 법칙이나 철자법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특정한 문자는 각각의 단어에 항상 나타나야 하며, 어떤 문자는 다른 문자 뒤에 절대로 오지 않고 어떤 문자는 반복해서 쓸 수 있지만 어떤 문자는 아니다. (추측컨대 언어에 적어도 조사 또는 동사가 존재했을 것 같고 막 휘갈긴 문자가 아니라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것이다)


■ 보이니치 필사본 그림 분석해보기

 

☞ 약초학 (Herbal)

 ≫ 각 쪽마다 약초 삽화와 문장 몇 개가 들어있다. 이 형식은 중세 유럽 약초학 서적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


 ☞ 약학 (Pharmaceutical)

 ≫ 해당 약초에 대한 상세정보를 보려면 어디어디로 가라는 등의 의미가 숨겨져있는 것처럼 약초의 부분마다 태그(tag)가 달려있다. 가장자리에는 해당 약제를 담는 약제용 그릇을 닮는 모양이 그려져있고 글과 함께 있다. 태그를 보여주기 위해 사진에 붉은색 동그라미를 쳐봤다


 

 ☞ 천문학 (Astronomical)

 ≫ 원형 도식과 함께 종종 태양, 달, 별이 들어 있어서 천문학이나 점성학에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몇몇 페이지들은 접혀있고 펼칠 수 있게 되어 있다. 어떤 그림엔 중앙에 양, 물고기, 천칭, 강아지, 석궁을 쏘는 사람(사수자리 예상), 왕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그려져있기도 한다.



 ☞ 생물학 (Biological)

 ≫ 한 쪽에 꽉 찬 글 사이사이에 큰 그림이 들어가 있거나 대부분의 그림은 나체의 여자들이 파이프들로 연결된 욕조에서 목욕을 하는 모습이다. 그 중 몇몇은 인체 기관과 매우 흡사한데, 필자는 흡사한 그림의 예시를 위해 위에 붉은색 동그라미를 쳐봤다. 위 그림은 아무리 봐도 사람의 인체 기관인 장을 연상시키는 그림이다. 나체의 여성들이 많은 것을 보면 이 시대에도 인체구조를 표현하기 위함인듯하다. 몇몇 여자들은 관을 쓰는 모습을 보인다.


 

 ☞ 처방전 (Recipes)

 ≫ 대체로 짧은 문장들이 많고 각각의 꽃이나 별과 비슷하게 생긴 "표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 아래는 처방전의 "표식"을 확대했다.

보이니치 필사본 원본을 볼 수 있는 URL : https://archive.org/details/TheVoynichManuscript


출처 및 참고 : 나무위키, 각종의 유튜브, 엔하위키, http://mysterytraveler.tistory.com/119,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실제 보이니치 필사본 연구



'미스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인의 문명 실제로 존재했던 것일까?  (2) 2016.09.25

+ Recent posts